잠실, 삼성, 대치, 청담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제도의 주요 목적은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실거주 중심의 시장 구조를 강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허가구역 내에서는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실거주 의무와 기존 주택 처분
2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제도의 주요 목적은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실거주 중심의 시장 구조를 강화하는 데 있다.그러나 토지거래허가구역 실효성 논란은 꾸준히 제기돼왔다.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에 따른 1주택 실수요자들의 쏠림으로 신고가를 경신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났고, 실거주 의무 조건에 따른 전세 물량 감소로 전세가격 상승이 이어졌다.월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역시 2020년 6월 0.98%에서 지정 후 7월에 1.26%로 상승폭을 키웠다. ▲8월 0.73% ▲9월 0.87% ▲10월 0.63% ▲11월 0.62% ▲12월 0.33%로 둔화되는 듯 했으나 2021년 1월에는 1.64%로 다시 올랐다.
아파트 전세가격은 폭등했다. 2019년부터 2020년 1년 동안 ▲잠실 8.42%→30.97% ▲삼성 2.39%→15.66% ▲대치 7.17%→27.21% ▲청담 1.46%→18.08%로 크게 상승했다.이번에 잠실, 삼성, 대치, 청담동, 이른바 ‘잠삼대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될 경우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갭투자, 갈아타기 등의 수요가 많아질 수 있으나, 현재 부동산 시장의 침체 상황을 고려했을 때 수요 급증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부동산팀장은 “갭투자가 성행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지정 해제에 따른 기대감으로 매도자의 매물 거둬들임과 매물 호가 반영 등으로 일시적인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매물 유동성을 회복시키고 점진적으로 정상화를 찾아갈 가능성도 높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안 참사, 윤석열 탄핵 정국에 미칠 영향은?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이 탄핵 심판과 수사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게임위드인] '반PC·친코인' 트럼프 2기, 한국 게임에 미칠 영향은(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20일(현지 시간) 2기 집권을 시작하면 한국 게임업계에도 파장이 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잠·삼·대·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강남권 영향 받나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수순에 돌입할 예정이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일대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지역과 신속통합기획으로 진행된 강북권 일부 재개발 지역이 우선 추진 대상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강남·북에 걸쳐 광범위하게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대해 해제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4일 ‘규제 풀어 민생살리기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민과 규제철폐 머리맞댄 오세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검토'(서울=연합뉴스) 윤보람 정수연 기자=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토지거래허가 구역 지정 해제를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묻지마 전세대출’ 시대 끝났다···비아파트 시장 월세화 가속화될 듯오는 7월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서울보증보험(SGI)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이 100%에서 90%로 줄어들게 되면서, 부동산 시장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설업계, 7가지 변수로 암울한 그림자…주택 공급 부족, 공사비 리스크, 인력난 심화전문가들은 세계 경제 침체, 건설 투자 감소, 주택 공급 부족, 건설 기업 재무 악화, 공사비 현실화 논의, 현장 인력난 심화 등 7가지 변수를 꼽으며 건설업계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암울한 전망을 제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