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비대면 진료 중단에 '취약지 노인 의료접근성 강화' 필요 비대면_진료 교통_취약지역 의료접근성 한림미디어랩 이성연
비대면 진료는 지난 2020년 2월 코로나 위기 단계가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현행 감염병 관리법에 따라 '심각 이상'의 위기경보 동안 한시적으로 허용돼 왔으나 내달 감염병 위기경보가 다시 '위기'로 하향됨에 따라 더 이상의 비대면 진료는 불법이 된다.플랫폼-의료업계의 찬반 논란에도 비대면진료가 충족시켰던 시니어 의료 접근성 등의 분야는 비대면 진료 중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빈자리를 채울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021년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에 따르면, 70대 이상 시니어 54%가 의료기관 이동 시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30대 이하의 청년층은 74%가 자가용을 이용, 시니어들이 이들 청년층보다 의료기관 이동에 평균 11.3분을 더 쓴 것이다. 게다가 농어촌은 비농어촌에 비해 의료기관 이동시간이 평균 6.8분 더 소요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교통 취약지역인 강원도의 경우 1인 가구 노인이 교통 문제로 인해 병원 진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에서 발표한 2022년 강원도 여성 노인 1인 가구의 생활실태조사를 보면, 여성 노인 20.3%가 교통이 불편해 지난 1년간 병원 진료를 받지 않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를 시군별로 나눠보면 도내 군 지역 여성 노인 47.8%가 교통 문제로 병원 진료를 미뤘다고 답해 병원 진료를 미룬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2.8%에 불과한 시 지역 여성노인들보다 의료접근성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달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한시적 비대면 진료의 현황'에 따르면, 총 진료 736만 건 중 만 60세 이상이 288만 건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중 70세 이상은 21.9%에 달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은 환자 또는 가족 500명을 대상으로 벌인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7.8%가 '비대면 진료 이용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그 이유로 응답자들은 '감염병으로부터의 안전', '진료 대기시간 단축' 등을 들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에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비대면진료 중단에 따라 다시 커질 지역 노인 의료접근성 문제를 보완할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성연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에도 게재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광주시, 야간·휴일 응급실 헤매는 '어린이 의료 사각지대' 없앤다광주시, 야간·휴일 응급실 헤매는 '어린이 의료 사각지대' 없앤다 강기정 소아청소년환자 어린이공공의료 안현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월 출생아 2만명선 깨져 역대 최소…인구 40개월째 감소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올해 2월 출생아 수가 2만명 아래로 내려가며 2월 기준 사상 최소치를 갈아치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바이든 '워싱턴 선언'...'北 핵공격 땐 美 핵 포함 총동원'尹-바이든, 정상회담 통해 ’워싱턴 선언’ 채택 / 핵 포함 동맹 역량 총동원해 지원…확장억제 강화 / ’한미 핵협의그룹(NCG)’ 정기 협의 기구로 창설 합의 / 미국, 전략핵잠수함 등 전략자산 한반도 정례 배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미정상회담] 대통령실 '美, '워싱턴 선언' 中에 사전 브리핑'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정아란 기자=미국이 26일(현지시간) 열린 백악관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에 대한 확장억제 강화 방안을 담은 '워싱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