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는 못 볼지도 모를 혜성이 2월 초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이 혜성은 올해 보게 될 혜성 중 가장 밝은 혜성으로 관측하기에는 달이 뜨지 않는 이번 설 연휴가 가장 좋은 때라네요. 🔽 네안데르탈인이 봤던 걸 보는 셈
5만년후 다시 오거나 아예 안올 수도 1월8일 뉴욕 밤하늘에서 찍은 혜성 C/2022 E3 . 녹색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EarthSky Community Photos | Steven Bellavia 다시는 못 볼지도 모를 혜성이 2월 초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이 혜성은 올해 보게 될 혜성 중 가장 밝은 혜성이다. 혜성을 관측하기에는 달이 뜨지 않는 이번 설 연휴가 가장 좋은 때라고 천체관측가들은 말한다. 지난해 3월2일 독수리자리 방향 하늘에서 아침 무렵에 처음 발견된 이 혜성의 이름은 ‘C/2022 E3 '이다. 당시 이 혜성은 목성 궤도를 지나가고 있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마천문대의 광역 천체 관측장비 ‘츠비키’가 처음 포착한 이 혜성은 녹색 빛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중심핵 크기는 약 1㎞ 정도다. 이 혜성이 녹색인 것은 2원자탄소 성분 때문으로 보인다.
혜성 이름은 국제천문연맹이 정한 원칙에 따라 붙인다. ‘C/2022 E3 ’ 혜성의 경우 맨앞의 C는 태양계를 한 번만 통과하거나 주기가 200년 이상 걸릴 수 있는 혜성이란 걸 뜻한다. 그 다음의 ‘2022 E3’은 2022년 다섯번째 반월 시기에 발견한 세번째 혜성이라는 뜻이다. 1월 초부터 반월씩 알파벳 순서에 따라 문자를 배정하는데 다섯번째 알파벳인 E는 3월 상반월을 뜻한다. 마지막에 있는 ‘ZTF’는 혜성을 포착한 망원경의 이름이다. C/2022 E3 혜성의 궤도와 지구에 가장 가까이 오는 시점의 위치. 태양보다 수천배 먼 거리에서 출발 녹색 빛을 띠는 이 혜성의 고향은 오르트구름으로 추정된다. 지구~태양 거리의 2천~5만배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에 걸쳐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는 오르트 구름은 공 모양의 외부 오르트 구름과 그 안쪽에 도넛 모양의 중심 오르트 구름으로 이뤄져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3만 원권 나왔으면'…'세뱃돈 부담'에 공감 쏟아진 글이제 설 명절이 그야말로 코앞으로 다가왔는데요. 3년 만에 찾아온 대면 설 연휴, 반가움과 동시에 '세뱃돈 고민'을 토로하는 이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설 연휴 제주 관광객 7.6% 감소…“이젠 외국 나간다”제주도관광협회는 지난해 설 연휴(1월29~2월2일)에 견줘 관광객이 7.6%(약 1만5천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해외여행객 증가 여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실내 마스크 완화 시점은 20일 결정···설 연휴 지나야 풀릴 듯정부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 시기를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21일부터 설 연휴가 시작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내 마스크 의무는 연휴 이후에 풀릴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