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년 전 지구를 찾아왔던 혜성이 오는 2일 새벽 지구에 다시 바짝 접근하는 우주쇼가 펼쳐진다. 소형 천체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사용해 관찰하면 혜성에서 나온 아름다운 녹색 꼬리를 볼 수 있다.
지난달 28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촬영한 ZTF 혜성. 이시우 씨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C/2022 E3 ZTF 혜성’이 오는 2일 새벽 3시쯤, 지구에서 4250만㎞ 떨어진 우주 공간에 접근한다고 1일 밝혔다. ZTF 혜성은 지난해 3월 미국 샌디에이고 팔로마 천문대의 ‘츠비키 망원경’을 통해 발견됐다.꽤 멀어 보이지만,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까지의 거리는 무려 39조㎞에 이른다. 우주의 거대한 규모를 감안한 관점에서는 태양계 외부에서 태어난 ZTF 혜성과 지구가 비교적 가까운 거리까지 접근해 인사를 나누는 셈이다. ZTF 혜성은 태양계 바깥쪽에서 태양계를 공처럼 둘러싼 먼지와 얼음의 집단인 ‘오르트 구름’에서 생겨났다.ZTF 혜성의 겉보기 등급은 5등급이다. 겉보기 등급은 총 6단계로 구분되는데, 5등급은 상당히 어두운 편에 속한다. 맨눈 관측이 쉽지 않다. 천문연구원은 “북극성 서쪽 기린자리 부근에서 ZTF 혜성을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주변에 빛이 적은 곳에선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ZTF 혜성이 지구에 최근접하는 2일 새벽이 지나면 한동안 혜성을 다시 관측하는 건 어렵다. 달이 밝아서다. 천문연구원은 달이 없어진 이달 10일쯤부터 중순까지 겉보기 등급 6등급으로 ZTF 혜성을 다시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ZTF 혜성의 주기는 5만년에 이를 것으로 천문연구원은 추정했다. 5만년 전 지구에 찾아온 ZTF 혜성은 현생 인류와 공존했던 네안데르탈인도 함께 지켜 봤던 셈이다. 네안테르탈인은 4만2000년 전 멸종했다. 김명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ZTF 혜성은 핵 주위의 가스층인 ‘코마’에 탄소 이원자 분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때문에 녹색 빛을 띤다”고 설명했다. 혜성의 핵은 얼음과 먼지로 만들어져 있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코마와 꼬리가 나타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독자 핵무장-찢어진 핵우산' 여론속 오늘 한미 국방장관회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연쇄 도발로 엄중해진 한반도 정세 속에 한미 국방부 장관이 석 달 만에 다시 만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독자 핵무장-찢어진 핵우산' 여론속 오늘 한미 국방장관회담(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연쇄 도발로 엄중해진 한반도 정세 속에 한미 국방부 장관이 석 달 만에 다시 만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7년’ 유성호텔 문 닫는다…식어가는 유성온천 되살아날까대전 유성호텔이 영업난을 이겨내지 못하고 109년 만에 문을 닫습니다. 이 호텔은 헐린 뒤 고급 호텔로 다시 태어날 공산이 높습니다. 이런 변화가 쇠락기에 접어든 유성 온천지구의 재부흥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유성호텔 이야기 되짚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세 다시 오는 추위···내일 출근길 영하 10도, 빙판길도 조심하세요2일 중부지방의 아침 기온이 영하 10도 안팎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기상청은 밤부터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과 3일 아침 기온이 오늘보다 5~10도 가량 큰 폭으로 떨어지겠다고 예보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