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내걸던 기념일은 옛말? '나라 어지러운데 의미없다' [르포]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태극기 내걸던 기념일은 옛말? '나라 어지러운데 의미없다' [르포]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3%

“집집이 태극기가 펄럭이는 모습은 옛날 얘기”\r현충일 태극기

전주·대전 아파트·주택가 태극기 드물어 현충일인 6일 오전 전북 전주시 효자동 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 총 9개 동, 800여 세대가 사는 이 아파트에서 태극기를 단 가구는 10여 곳에 불과했다. 회사원 김모씨는 “국가 기념일데도 태극기 달기엔 관심이 없는 것 같다”며 “집집이 태극기가 펄럭이는 모습은 옛날얘기”라고 말했다.같은 시각 대전 유성구 한 아파트 단지도 사정은 비슷했다. 수백 세대 중 태극기를 단 집은 5곳 안팎이었다.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르면 현충일을 비롯한 3·1절·제헌절·광복절·국군의날·개천절·한글날 등 국경일과 기념일로 지정된 날엔 태극기를 게양해야 한다. 하지만 강제성이 없다 보니 국경일·기념일을 앞두고 정부와 자치단체 등에서 태극기 달기 운동을 독려해도 ‘공염불’에 그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올해 현충일에 태극기가 실종된 배경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등 주요 현안마다 여야로 나뉘어 대립하는 정치권 탓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모씨는 “매년 국경일·기념일마다 태극기를 걸었는데 이번엔 생각도 안 났다”며 “국회의원들이 정치를 잘못해 나라가 어지러운 판에 태극기를 다는 게 무슨 의미냐. 애국자가 따로 있냐”고 했다. 전쟁과 거리가 먼 젊은 세대에겐 ‘국경일·기념일은 평일에 하루 덤으로 쉬는 날’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회사원 김모씨는 “태극기만 달면 애국자가 되는 거냐”라며 “나라를 사랑하고 위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태극기 게양 여부로 애국심을 따지는 건 고리타분한 고정 관념”이라고 했다.

향토사학자인 이인철 체육발전연구원장은 “오늘날 한국이 세계 10대 경제 대국이 된 건 6·25 등 위기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수많은 사람이 있기에 가능했다”며 “현충일에 태극기를 다는 건 순국선열과 국가에 ‘고맙다’고 표현하는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태극기를 달지 않는 풍토에 대해선 “정치가 이렇게 만들어놨다”며 “특정 세력끼리 권력을 잡기 위해 싸우다 보니 국가라는 의미는 희석되고 정치 패러다임만 남았다”고 지적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제발 옷 좀 입으세요'…올해만 외국인 129명 추방시킨 이 나라 | 중앙일보'제발 옷 좀 입으세요'…올해만 외국인 129명 추방시킨 이 나라 | 중앙일보당국은 관광객에게 '에티켓 안내서'까지 배포했습니다.\r외국인 관광객 추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재난영화인 줄' 영상 발칵…모래폭풍이 집어삼킨 이 나라 (영상) | 중앙일보'재난영화인 줄' 영상 발칵…모래폭풍이 집어삼킨 이 나라 (영상) | 중앙일보이 모래 폭풍으로 수도에서는 광고판이 무너져 1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습니다.\r모래 폭풍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왜 하필 그 나라?' 2억 들여 비영어권 연수가는 울산 교사들 | 중앙일보'왜 하필 그 나라?' 2억 들여 비영어권 연수가는 울산 교사들 | 중앙일보교사 1인당 연수 비 780만원으로 총 2억1840만원이 필요합니다.\r울산 교사 연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충일, 우리 동네 딱 세 군데 집에 태극기 걸렸다현충일, 우리 동네 딱 세 군데 집에 태극기 걸렸다오늘 6일 국가를 위해 희생하신 호국영령과 순국선열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현충일, 어린 시절이 갑자기 떠오른다. 현충일의 깊은 의미보다는 태극기 거는 날로 기억된다. 아버지는 이른 아침 어김없이 내게 태극기를 달라고 하셨다. 받침대가 따로 없어 대문에 태극기를 대충 묶어 걸었다. 걸쳐 놓기도 했다. 철없던 시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순천만 가리맛조개는 숨쉬고 싶다…굴초에 고사 위기[르포]순천만 가리맛조개는 숨쉬고 싶다…굴초에 고사 위기굴초가 생긴 이유는 일부 어민들이 30여 년 전에 폐타이어로 만든 굴 양식장 때문이다. 가리맛조개 굴초 갯벌 굴양식장 폐타이어 거차해역 순천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9 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