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5대 금융지주 순이익이 1년 전보다 16.7% 떨어졌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에 대해 배상이 시작되면서 일회성 비용이 늘어난 영향이다. 영...
올해 1분기 5대 금융지주 순이익이 1년 전보다 16.7% 떨어졌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 대규모 손실에 대해 배상이 시작되면서 일회성 비용이 늘어난 영향이다. 영업이익으로는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수익성을 끌어올려 우리금융과 NH농협금융을 제외한 3개 금융지주들이 전년 대비 상승했다.신한금융이 순이익 1조3215억원으로 가장 높은 실적을 거뒀다. 이자이익은 2조81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늘었고 비이자이익은 1조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5대 금융지주들의 순이익이 모두 전년 대비 준 것은 홍콩H지수 ELS 사태 때문이다. 계열사인 은행들이 손실 배상 비용을 1분기 충당부채에 반영하면서 일회성 비용이 늘었다. H지수 ELS 배상과 관련해 쌓은 충당부채만 약 1조6650억원에 달했다.
특히 은행별로 보면 H지수 ELS를 가장 많이 판 KB국민은행이 8620억원으로 가장 많다. KB금융에서 판매한 홍콩 ELS가 가장 많은만큼 배상 비용도 가장 커서 업계 1위 자리를 신한에 내준 셈이다. NH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이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은 ELS 판매액이 5대 금융지주 중 가장 낮아, 관련 비용이 75억원에 그쳤다. 5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영업외손실은 1조6962억원이었다.금융지주별로 보면, KB금융의 1분기 영업이익은 2조35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신한금융 역시 전년 동기대비 17.8% 증가한 2조68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하나금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1조5631억원을 기록했다.
하나금융은 “H지수 ELS 충당부채,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 환산손실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에도 이자이익과 수수료 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의 견조한 성장과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힘입어 시장의 기대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고 자평했다. 우리금융과 NH농협금융은 모두 영업이익이 줄었다. 우리금융의 1분기 영업이익은 1조14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감소했다. NH농협금융은 전년 동기 대비 1.1% 줄어든 1조4804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너도 나도 호캉스”…MZ세대는 집에서도 특급 호텔 분위기 낸다더 플라자, P컬렉션 1분기 매출 전년比 58%↑ ‘스몰 럭셔리’ 영향…롯데·조선호텔 침구도 인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기야, 청약 말고 분양권 살까”…‘이 동네’ 세 집 중 한 집 주인 바뀌었다는데1분기 전국아파트 분양권거래 4%↑ 공사비 오르며 분양가 치솟은 영향 아산 ‘더샵탕정인피니티시티’ 30% 분양권 전매로 주인 바뀌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동위기·금리 인하 지연 여파에...한은 뉴스심리지수 ‘급락’최근 연중 최고치 117에서 100까지 떨어져 “총선 이후 경제 정책 불확실해진 점도 영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들아 엄만 상품권보다 현금이야”…백화점 다니는 딸은 땅을 치겠네불경기에 상품권 인기 떨어져 매출로 잡히는 상품권 잔액 줄어 백화점·마트 실적에 영향 불가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동 지역 긴장 완화·미국채 금리 하락에 코스피 반등…외인 현·선물 동시매수 [이종화의 장보GO]이스라엘 보복 연기에 중동 긴장 완화 미국채 10년물도 내려 코스피 반등 외국인, 7거래일 만에 선물 순매수 TSMC, 1분기 매출·순익 전망 상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븐틴 뉴진스 에스파 컴백한다”…4대 엔터주 기대해볼까하이브 등 4대 엔터주 반등 1분기 업계 비수기로 부진 2분기엔 주가 상승 기대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