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 조종사도 “추락 F-35 어딨는지 몰라”…홀로 100㎞나 비행

대한민국 뉴스 뉴스

탈출 조종사도 “추락 F-35 어딨는지 몰라”…홀로 100㎞나 비행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3%

“군용 제트기가 추락했습니다. 저는 조종사입니다. 비행기가 어디에 있는지 모릅니다. 그것은 어딘가에 추락했을 것입니다. ...

2022년 2월15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싱가포르 에어쇼 2022’에서 미 해병대 F-35B 라이트닝 II가 비행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군용 제트기가 추락했습니다. 저는 조종사입니다. 비행기가 어디에 있는지 모릅니다. 그것은 어딘가에 추락했을 것입니다. 저는 탈출했습니다. 구급차를 보내주실 수 있나요.” 17일 조종사가 911 상담원과 통화하며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는 순간에도 미 해병대 소속 스텔스 전투기 에프-35비는 주인 없이 홀로 비행을 하고 있었다. 이후 추락한 전투기는 하루 만인 18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기지 북동쪽에서 잔해가 발견됐다. 미국에서 최근 추락한 스텔스 전투기가 하루 동안 행방이 파악이 안돼 논란이 된 가운데, 해당 전투기가 비상 탈출한 조종사 대신 100㎞가량 홀로 비행하다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종사 보호 기능’ 때문에 한동안 비행을 유지했다는 게 미 해병대의 설명이다.

레이더 탐지를 피하는 스텔스 기능 때문에 미군은 전투기의 행방을 파악하지 못했고, 하루 뒤에야 잔해를 발견했다. 대당 8000만 달러에 달하는 첨단 전투기가 하루 동안 행방불명되는 일이 발생하자 미국 안에서는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미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기지 군 장병들이 18일 윌리엄스버그 카운티에서 F-35B 전투기가 추락한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해병대는 “항공기는 보통 레이더나 트랜스폰더 코드를 통해 추적되는데, 조종사가 탈출하자마자 전투기는 보안통신을 삭제하도록 설계됐다”며 항공기 행방 추적이 어려웠던 이유를 설명했다. 에이피는 사고 전투기가 피아 식별 신호를 보냈지만 항공관제시스템에 탐지되지 않았고, 뇌우와 낮게 깔린 구름 등 악천후도 수색을 어렵게 했다고 짚었다. 해병대 등은 “스텔스 기능 때문에 전투기 추적이 전통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이뤄져야 했다”고 밝히며 스텔스 기능도 전투기를 찾는 데 방해가 됐다고 밝혔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12 09: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