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제도와 탄소세 중 무엇이 필요할까요?

대한민국 뉴스 뉴스

탄소배출권제도와 탄소세 중 무엇이 필요할까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4강 후기] 탄소제로 기업은 가능한가

40여 명의 시민은 총 5회에 걸친 전기/산업/주거/교통/기후 각 분야 전문가 강연을 듣고, 전문 퍼실리테이터와 시민 토론을 거쳐 기후위기의 해법을 마련하고 책임 있는 기관에 적극 활용하라 요청할 예정입니다.

2022년의 파키스탄 대홍수는 아이를 낳아서는 안 되겠다는 확신을 가지게 했습니다. 재난이 일상이 된 세상에서 나의 아이가 살아가는 현실이 줄 죄책감을 감당 할 자신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RE100이 뭐냐는 대통령과 뭔지 모르면 어떻냐는 여당 비대위원장의 발언은 분노를 느끼게 합니다. 4강 수업은"탄소제로 기업은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한국을 비롯한 세계의 산업탄소중립정책과 현실,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하나같이 실현이 쉬워 보이지 않아 마음이 괴로웠고 특히 기존의 2030NDC달성 계획을 수정해 2029년 부터 대폭 낮춰서 해결하겠다는 현정부의 계획은 제가 한국인이라는 게 부끄러워 질 정도였습니다.

저는 탄소세를 지지하는 입장입니다. 기업과 자본에 자율성을 부여해 탄소배출을 규제하는 탄소배출권제도에 대해 도무지 믿음이 생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미 탄소를 줄이기는 커녕 기업의 이익을 위해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며 이익을 얻는데 치중한 사례들이 많았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기후유권자연대 '총선 공약으로 탄소세 도입 약속해야'기후유권자연대 '총선 공약으로 탄소세 도입 약속해야'사천남해하동 시민·환경단체, 기후 관련 공약 제안 기자회견... 여야 출마자에 정책 전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과 경제] 무엇이 극단정치를 탄생시켰나[금융과 경제] 무엇이 극단정치를 탄생시켰나균형 깨뜨리는 급격한 변화는경제학에선 극히 예외적 사례정치에선 양극단 변화가 빈번SNS 등장후 균형점 붕괴로최소한 규준마저 무너뜨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점의 관점+] 윤석열 대통령은 무엇이 두려울까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윤석열 대통령은 무엇이 두려울까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망도 교통도 아니네”…3040, 아파트 선택 1순위 조건은 다름아닌 ‘초품아’“조망도 교통도 아니네”…3040, 아파트 선택 1순위 조건은 다름아닌 ‘초품아’올해 청약경쟁률 상위 10곳 중 6곳 ‘초품아’, 초등학교 입지에 따라 집값 수천만원 차이 지난해 초·중·고교생 사교육비 지출 27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앙 '김신영 시계'와 조선 '한동훈 맨눈' 보도, 무엇이 같을까중앙 '김신영 시계'와 조선 '한동훈 맨눈' 보도, 무엇이 같을까네이버뉴스에서 언론사별로 가장 오래 노출한 기사 살펴보니... '관점'이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동 최대규모’ 두바이 도서관은 무엇이 다를까 [파일럿 Johan의 아라비안나이트]‘중동 최대규모’ 두바이 도서관은 무엇이 다를까 [파일럿 Johan의 아라비안나이트][파일럿 Johan의 아라비안나이트-15] -두바이 무함마드 빈 라쉬드 라이브러리 가보니 작업의 능률을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필자의 경우에는 도서관이나 카페에 가서 노트북을 펴 놓고 작업을 하는 것을 선호한다. 약간의 백색소음이 들리는 공간이 조금 더 집중이 잘 되는 것 같다. 그렇다고 아주 오래 앉아있지는 않는다. 보통 한 두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04:5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