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축제 서울광장 사용 불허한 회의록 보니…‘혐오의 장’이었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퀴어축제 서울광장 사용 불허한 회의록 보니…‘혐오의 장’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1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0%
  • Publisher: 53%

서울시가 오는 7월1일로 예정된 서울퀴어문화축제를 서울광장에서 열지 못하도록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당시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했던 회의에서 성소수자를 차별하고 차별하고 배제하는 혐오 발언이 다수 나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퀴어퍼레이드 서울광장 사용 불허 규탄 대학가 무지개행진 기획단은 12일 오전 서대문구 신촌 연세로 스타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퀴어문화축제 서울광장 사용 불허는 유구한 혐오의 논리이자 차별”이라고 비판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서울시가 오는 7월1일로 예정된 서울퀴어문화축제를 서울광장에서 열지 못하도록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당시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했던 회의에서 성소수자를 차별하고 배제하는 혐오 발언이 다수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 누리집에 올라온 회의 속기록을 12일 살펴보니,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의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한 지난 3일 회의에서 한 위원은 “ 서울광장에서 있었던 이 행사 인근에서 이를 반대하는 시위가 대규모로 있었다. 이렇게 대규모 시위와 충돌하는 것은 시민의 안전과도 직결이 된다”며 “이렇게 논란이 있고 문제가 있는 축제들은 위원회에서 걸러내야 될 것 같다”고 말한 것으로 나와 있다.

시민위원회는 재적위원 12명 중 9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 퀴어조직위의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하는 대신 기독교계 시티에스문화재단이 같은 날 열겠다고 신고한 ‘청소년·청년을 위한 회복콘서트’의 서울광장 사용을 승인했다. 퀴어조직위의 한채윤 위원은 “지난 11일 서울시로부터 받은 시민위원회 개최 결과 공문을 보면, 서울광장 조례상 어린이 및 청소년 관련 행사가 우선이어서 ‘청소년·청년 회복 콘서트’를 열기로 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하지만 속기록을 보니 그런 내용보다는 성소수자를 향한 편견과 혐오를 드러내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고 지적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독도는 일본 땅, 유관순 XXX' 낙서 뒤 태극기 불태운 30대 | 중앙일보'독도는 일본 땅, 유관순 XXX' 낙서 뒤 태극기 불태운 30대 | 중앙일보'시위 상황에서 국기 훼손 장면을 보고 표현의 자유가 허용될 것으로 여겼다'\r태극기 독도 유관순 국기모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1회 여주시 세계문화축제 개최... 내·외국인 주민 화합제1회 여주시 세계문화축제 개최... 내·외국인 주민 화합제1회 여주시 세계문화축제 개최... 내·외국인 주민 화합 여주시 결혼이민가정 이충우 세계문화축제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태경 '이재명 앞 당 비판 본인 먹칠…홍준표 어떨 땐 모자라' | 중앙일보하태경 '이재명 앞 당 비판 본인 먹칠…홍준표 어떨 땐 모자라' | 중앙일보홍 시장이 야당 대표를 만나 대통령실과 국힘 지도부를 비판하자...\r하태경 홍준표 이재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처리수' 용어 변경 검토 착수 | 중앙일보[단독]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처리수' 용어 변경 검토 착수 | 중앙일보'알프스 정화시설을 거쳐서 마지막에 내보내는 물을 오염수라고 부르기에도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게 사실'\r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수 정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텍사스 총격범 일기엔…'아리아인이 미국 되찾아야' 망상미국 텍사스 총격범 일기엔…'아리아인이 미국 되찾아야' 망상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가르시아는 '오드노 클라스니키' 등 러시아 소셜미디어에 지난해 9월부터 수백 장 분량의 일기를 남겼습니다. 해당 계정은 현재 삭제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21:3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