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백신 맞은 날, 코로나19 백신 맞아도 될까? 📝 김연희 기자
동절기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이 10월27일부터 시작됐습니다. 이번 예방접종에는 오미크론 변이를 타깃으로 한 ‘개량백신’이 활용됩니다. 코로나19 백신을 2~3회 맞았거나, 코로나19에 걸렸던 사람들이 이제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개개인의 입장에서 추가접종을 할지 말지는 더 까다로운 질문이 되었지요.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유행이 일상화 단계에 접어든 만큼 겨울철을 앞두고 해마다 진행되어온 ‘독감 예방접종’의 경험을 참고하라고 조언했습니다. 여러 궁금증을 모아 일문일답으로 풀어봤습니다. Q 개량백신은 무엇이 달라졌나. A 동절기 추가접종에는 오미크론 대응 개량백신으로 ‘모더나 BA.1’ ‘화이자 BA.1’ ‘화이자 BA.4/5’ 이렇게 3종이 도입되었다. BA.1은 올해 2~4월을 휩쓸었던 5차 유행을 주도했던 변이다. BA.5는 올해 여름철 6차 유행을 이끌고 지금까지 국내에 우세종으로 자리 잡고 있는 변이다. BA.1과 BA.5 변이 모두 ‘오미크론’ 계통에 속한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mRNA 백신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mRNA 백신접종을 원하지 않는 경우는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을 선택할 수 있다고 방역 당국은 안내하고 있다. Q 4차 접종을 한 사람은 5차 접종도 가능한가. A 이번 동절기 추가 예방접종부터는 백신접종 횟수를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①1·2차 기초접종을 마쳤고 ②마지막 접종 또는 코로나19 확진일 기준 4개월이 경과된 18세 이상 성인은 추가접종을 할 수 있다. 즉 4개월이 지났다면 2차 접종을 한 사람은 3차 접종, 3차 접종을 한 사람은 4차 접종, 4차 접종을 한 사람은 5차 접종을 할 수 있다. 60세 이상은 올해 상반기에 4차 접종이 시작되었기에 5차 접종 대상자가 상당수 된다. 전문가들은 독감 예방접종의 경우 몇 번 맞았는지 횟수를 세지 않는 것과 비슷한 개념으로 점차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이 권고한 ‘4개월’은 보수적인 기준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두 달 새 최다...오늘부터 '집중 접종 기간'정기석 '개량 백신, 차원 다르다…반드시 접종' /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3만 명…독감의 100배 / 개량 백신, 뇌졸중 등 코로나19 후유증 감소 효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중증 환자 두 달 만에 최다...'오늘부터 예약없이 개량백신 접종'[앵커]코로나19 확산세는 다소 주춤했지만 위중증 환자는 두 달 새 최다를 기록했습니다.코로나19 관련 누적 사망자는 7개월 만에 만 명이 늘어 3만 명을 넘어섰습니다.정부는 오늘부터 한 달 동안 개량 백신 집중 접종기간을 운영합니다.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코로나19 신규 환자는 4만 명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년 전 모더나 맞고 대머리 됐던 20대…훈훈한 근황을 전했다 | 중앙일보모더나 백신 접종 후 탈모가 진행됐던 그가 소식을 공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