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배달앱 플랫폼의 지난달 사용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6.6%(602만명)나 줄었습니다.\r배달 배달음식 배달앱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식서비스 온라인 거래액은 26조339억원으로 전년보다 1.4% 늘었다.
배달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2017년 2조7000억원 수준에서 2018년 5조3000억원, 2019년 9조7000억원, 2020년 17조3000억원, 2021년 25조7000억원으로 매년 급증했는데 지난해에는 성장세가 다소 주춤했다.지난해 7월 거래액이 전년 동월보다 5.3%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12월까지 6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국내 배달앱 사용자 수는 9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의민족, 위대한상상의 요기요, 쿠팡의 쿠팡이츠 등 3대 배달앱 플랫폼의 지난달 사용자 수는 3021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6.6%나 줄었다.지난달 사용자 수를 배달앱별로 살펴보면 배달의민족이 1987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2% 줄었고 요기요는 685만명으로 23.3%, 쿠팡이츠는 350만명으로 46.8% 각각 감소했다.거리두기 해제 이후 외부 활동이 늘어나며 음식을 배달해 먹는 경우가 줄고 배달 수요가 외식 수요로 점차 옮겨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중식·피자·한식 업체들의 배달비를 지난해 11월과 비교한 결과 조사대상 업체의 13.5%는 배달비가 상승해 배달비가 하락한 업체의 두 배가 넘었다.배달의민족의 경우 이번 달부터 행정동 단위로 배달료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 외에 거리별로 매길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배달비에 다시 변화가 발생했다.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거리가 늘어날수록 배달료가 오르는 구조로 현실화하는 것으로 업주분들이 꾸준히 요구해온 사항”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코로나에 '점프' 음식배달 시장, 거리두기 해제에 '제자리걸음'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고속 성장하던 온라인 배달음식 시장이 지난해에는 거의 제자리걸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빈 라덴 죽인 '고담' 꺼냈다…우크라 '마법 구슬'된 이것 정체 | 중앙일보'다윗(우크라)과 골리앗(러시아) 싸움에서 '돌팔매' 역할을 했다'라고 평가받습니다.\rAI 팔란티어 고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탈세 논란에 실종설까지…중국 배우 판빙빙, 5년만에 나타나 한 말 | 중앙일보5년 전 탈세 논란과 관련해 질문받자, 그의 반응은...\r판빙빙 중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날씨] '10도 이상' 큰 일교차 유의…내륙 건조 심화주말 아침 다시 반짝 추워졌습니다. 현재 아침 기온 영하권으로 뚝 떨어져 있고 낮이 되면 따스한 햇살이 기온을 견인하면서 대부분 10도 안팎으로 온화하겠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