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학자는 코로나19를 불러온 원인을 진단하고, 생태적 전환과 돌봄의 가치를 중심으로 구축할 새로운 사회상을 논의했다
여성과 약자를 중심으로 이야기 나눠돌봄을 사회의 핵심에 자리잡게 하고다른 정체성과 연대하게 하는 힘” 이화여대 최재천 석좌교수와 김은실 여성학과 교수가 지난 8일 서울 이화여대 통섭원 연구실에서 코로나19 시대 삶의 변화와 여성주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누고 있다. 이들은 코로나19 이후에 돌봄의 가치를 중심으로 사회를 재편하고, 생태적 전환을 함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 한국의 대표적 여성학자 김은실 교수와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가 ‘코로나 시대 이후의 사회’를 주제로 마주 앉았다. . 최근 동료들과 함께 을 펴낸 김 교수는 “여성, 남성 등이 각자의 정체성에 기반해 ‘파이’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에 머무르는 것”을 우려했다. 최 교수는 코로나 위기가 “우리 삶이 자연과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지구촌이 전에 없던 변화를 겪고 있다.
선생님은 코로나 이후의 사회를 어떤 식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최 우리가 삶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기회라고 생각해요. 외국의 어떤 부자는 코로나19가 한참 퍼질 때 요트에 혼자 머물렀다고 하잖아요. 1주일은 몰라도 한두달이 넘어가는데 물고기만 잡아서 살 수는 없어요. 음식도 생필품도 누군가 날라줘야죠. 그러면 배달하는 사람을 통해 바이러스가 옮겨올 수도 있지 않겠어요? 사회 전체가 마비되면 나도 살아남지 못한다는 인식을 많은 사람이 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김 누구나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의료 인프라 혜택이 케이방역의 핵심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정작 가정, 병원, 요양원 등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여성이 돌봄을 못 받아요. 사회가 그분들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번 책에 재밌는 논의가 있는데요. 바이러스는 비말을 매개로 전파되잖아요. 키스나 섹스가 굉장히 민감한 문제인데, 사회가 이성애 가족은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다뤄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4000명이 코로나 추적기 달고 콘서트 관람...독일 초유의 집단실험2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독일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 연구진은 인파로 가득한 대규모 실내 공간에서 바이러스가 어떻게 퍼지는지 알아보기 위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라크 파견 직원 또 코로나 사망…공군 급유기 급파이라크에서 일하다가 코로나19에 걸린 우리나라 건설사 직원 1명이 또 숨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이라크에 가서 일하는 우리나라 사람들, 또 교민을 데려오기 위해서 공군 공중 급유기를 현지로 보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코로나 재유행 현실화…'이대론 올림픽 못 한다'계속해서 다른 나라는 어떤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본은 하루 확진자가 920명을 기록한 가운데 도쿄에서는 처음으로 300명을 넘어섰습니다. 내년으로 연기한 도쿄 올림픽이 오늘로 딱 1년 남았는데 지금 같은 상태면 내년도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죽을 것 같았던 코로나 벗어났지만 '일상이 두렵다'코로나 6개월을 짚어보는 연속보도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1만 4천 명 가까운 확진자가 발생했는데요. 완치된 뒤에도 쉽게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재유행' 日 '올림픽 재연기 있을 수 없다'어제 하루 일본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천 명 가까이 나왔습니다. 도쿄 같은 대도시의 확산세가 두드러지면서 1년도 채 남지 않은 도쿄올림픽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올림픽 재연기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장발장' 형량 재검토…'생활환경 등 살펴볼 것'열흘을 굶다 구운 달걀 18개를 훔쳐먹은 40대 일용직 노동자에게 검찰이 징역 18개월을 구형한 소식 전해드렸었죠. 형량이 너무 많..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