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에 시달렸던 소년은 반세기 뒤인 지난 6월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3조3350억 달러(약 4600조원)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타이틀을 거머쥔 회사를 이끌고 있다. 켈리 발라드 데니스 최고경영자(CEO)는 제2의 젠슨 황을 발굴하기 위해 ‘1조 달러 인큐베이터 경진대회’를 엔비디아와 함께 시작하기도 했다. 대신 엔비디아만이 할 수 있는 비전과 공헌을 위해 모바일 다음에 올 시장을 준비했다.
1973년 미국 켄터키주 소도시 오네이다의 침례교 기숙학교 . 만 아홉 살 대만 소년이 기숙사 입소 첫날 밤 마주한 건 자신보다 여덟 살 많은 룸메이트가 웃옷을 올려 자랑스럽게 보여준 7곳의 ‘칼빵’이었다.
명문 사립학교라 믿은 부모의 기대와 달리 이 학교는 교도소에서 갓 출소한 소년의 룸메이트를 비롯해 모든 학생이 주머니칼 하나쯤은 지니고 있는 험악한 곳이었다. 더구나 오네이다에 온 최초의 중국인이던 이 소년을 백인 학생들이 가만둘 리 없었다. 소년은 이름보다 ‘칭크’로 불렸고, 구타와 왕따가 일상이 됐다.‘학폭’에 시달렸던 소년은 반세기 뒤인 지난 6월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3조3350억 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타이틀을 거머쥔 회사를 이끌고 있다. 그의 이름은 젠슨 황, 엔비디아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다. 그가 가진 자산만 1210억 달러로, 포브스 세계 부자 순위 11위다.
젠슨 황은 오네이다에서 겪은 고통이 성공을 이룬 자양분이라 강변한다. 그는 어떻게 ‘오네이다 잔혹사’를 극복하고 ‘인공지능 칩 대부’, ‘반도체 산업의 나폴레옹’ 자리에 오를 수 있었을까.◦ “걷지 말고 뛰어라” 손목시계 없는 CEO의 시간철학젊은 시절 부모님과 함께 사진을 찍은 젠슨 황. 왼쪽이 교사였던 어머니 뤄차이슈. 가운데는 아버지 황싱타이. X 캡처 “지금 하는 일이 인생을 바꾼다” 아르바이트 성공학 젠슨 황은 1963년 대만 중부 타이난에서 태어났다. 부모를 따라 다섯 살 때 대만을 떠나 태국에서 자랐다. 화학공학을 전공한 아버지 황싱타이는 미국의 에어컨 제조사 캐리어 자회사에서 근무했다. 미국 연수 후 황싱타이는 번영하면서 진보적인 미국에 반해 아이들과 미국에 이민을 가기로 결심했다.황싱타이는 아들 둘을 먼저 워싱턴주에 살던 젠슨 황의 삼촌에게 보낸다. 삼촌은 명문인데 등록금까지 저렴하다고 생각한 오네이다 기숙학교에 황을 입학시켰다. 그런데 학비가 싼 이유가 있었다. 이곳은 사고 친 아이들이 모이는 학교였다. 황은 뉴요커에 “모든 학생이 담배를 피웠고, 학생 중 칼을 들고 다니지 않는 학생은 내가 유일했다”고 그때를 회상했다. 당시 황의 친구였던 벤 베이스는 “황은 완벽한 표적이었다”고 말했다.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의 폭력이 황에게 쏟아졌다.
하지만 황은 개의치 않았다. 오히려 1년쯤 지나자 친구들을 이끌고 숲에서 놀이를 즐기는 ‘인싸’가 됐다. 비결은 공부였다. 성적에 자신이 있었던 황은 자상을 훈장처럼 자랑했던 열일곱 살 룸메이트에게 글자를 가르쳐 주고 친구가 됐다. 대신 친구로부터 벤치프레스 등 운동하는 법을 배웠다. 황은 매일 밤 잠 자기 전에 팔굽혀펴기를 100번씩 하며 누구도 깔보지 못할 힘을 키웠다.
더리치 젠슨황 인공지능대부 데니스 기숙학교 AI대부 대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기대젠슨 황 '최대한 빠른 작업중HBM3E 8·12단 승인 검토'내년 AI HBM이 반도체 주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젠슨 황 “삼성 HBM 승인 위해 최대한 빠르게 작업 중”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 엔비디아를 이끄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의 AI 메모리 반도체 납품 승인을 위해 최대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젠슨 황 “엔비디아, 삼성 HBM 인증 위해 빠르게 작업 중”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 엔비디아를 이끄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삼성전자의 AI 메모리 반도체 인증을 위해 최대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ES 2025: AI 기술이 집약된 신제품들CES 2025에서 AI 기술이 집약된 다양한 신제품들이 소개되었습니다. 또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8년만에 기조연설에 나서 AI의 미래 전략을 공개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전자, 엔비디아 납품 임박 기대에 3.4% 상승(종합)(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삼성전자[005930] 주가가 25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메모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수련의 시선] 너무 조용한 한국네오클라우드는 AI 개발 기업이나 데이터센터 운영 회사들에게 GPU를 클라우드로 빌려주는 스타트업인데, 이들이 더 많은 GPU를 구입하기 위해 갖고 있던 GPU를 담보로 빚을 낸 것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요즘 인도, 유럽, 일본 등 전 세계를 돌며 이런 사업 모델을 각국에 확산하는 데 열심이다. AI 인프라 시장을 엔비디아가 다 먹겠다며 전 세계를 상대로 꿈을 파는 젠슨 황 같은 기술 경영자도, '도박꾼'(라이오넬 바버 전 FT편집국장)이란 평가를 받을지언정 혁신기술 제국을 건설하겠다는 야망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손정의 같은 투자자도 안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