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밑이 빠지는 느낌’이라고 표현하는 ‘자궁탈출증’ 증상이 있다면 요실금이 동반됐을 수 ...
출산 경험이 있는 고령의 여성에게 주로 발생하는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나오는 질환을 지칭한다.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근육과 인대가 손상돼 골반 바닥부위의 지지조직에 이상이 생긴 경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밖에 비만한 경우나 변비가 심할 때에도 발생위험이 높다. 자궁탈출증이 발생하면 요실금이나 빈뇨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할 때는 자궁경부에 압박감이 느껴지고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넘어 자궁이 질 밖으로 만져지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환자가 비교적 젊다면 골반 바닥을 지탱하는 골반저근육을 운동으로 강화시켜 진행을 늦출 수 있다. 그러나 완전한 해결이 어려운 질환의 특성상 노화와 함께 증상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진행 정도가 심할수록 페서리란 기구를 질 안에 넣어 자궁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막는 치료법을 쓰거나 수술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자궁탈출증을 치료할 때는 특히 요실금이 동반 증상으로 나타났는지를 눈여겨봐야 한다. 요실금이 함께 발견됐다면 자궁탈출증과 같이 치료할 수 있지만, 자궁탈출증 치료 후 뒤늦게 요실금을 발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자궁탈출증 증상이 있을 때는 위치를 벗어난 자궁이 요도를 누르거나 꺾어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경미한 수준에 그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같은 ‘잠복성 요실금’이 자궁탈출증 수술 이후 요도의 방향이 정상화되면서 본격적인 요실금으로 바뀌면 추가 치료 과정이 더해져 환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국내·외의 가이드라인에서도 자궁탈출증이 있을 경우 당장 드러나는 요실금 증상이 없더라도 잠복성 요실금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검사와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 안기훈 고려대 안암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임신과 출산, 비만, 노화 등으로 골반기저근육이 약화된 상태라면 자궁탈출증뿐 아니라 요실금 발생의 위험도 상당히 높다”며 “자궁탈출증 치료 후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이 낮아질 수 있는데, 미리 발견하여 동시에 치료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 치료약 종류 따라 심혈관 질환 위험 달라져당뇨병 치료제인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2(SGLT-2) 억제제’는 콩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유도하는 SGLT-2를 억제해 혈당을 낮춘다. 이 가운데 ‘SGLT-2 억제제’ 계열의 서로 다른 당뇨병 치료약을 사용한 환자는 예후(치료 경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이희선 교수·고려대 구로병원 최유정 교수팀은 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밀출산 보장·배드파더 추징' '모든 임신'을 국가가 보호하는 독일임신, 출산, 양육은 누군가에겐 행복이지만 누군가에겐 불행일 수도 있다. 임신, 출산, 양육의 책임을 개인, 특히 엄마에게 떠넘길 때 영아 유기·살해 같은 극단적 선택에 내몰릴 가능성이 커진다.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이유다. ①임신, 출산, 양육의 모든 단계마다 국가가 촘촘한 지원을 해서 사각지대를 없애고 ②아이뿐 아니라 엄마와 부모를 동시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