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5.2%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달 2.3%까지 내려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가 이어지던 1년 전보다 휘발유·경유 가격이 각각 22.8%, 33.4%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상승률을 1%포인트 넘게 끌어내렸다는 의미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경유 판매가는 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대 초반까지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9월에 다시 3%를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다. 그간 물가 하락에 크게 기여했던 휘발유·경유 가격이 급등한 데다 농수산물도 호우와 폭염, 추석 등과 맞물려 들썩이는 여파다. 물가 불안이 다시 고개를 들면 지난 2분기부터 중산층조차 움츠러들었던 소비가 더욱 위축될 수 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5.2%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2.3%까지 내려왔다. 특히 지난달 상승률은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처럼 둔화하던 물가 상승 폭의 ‘확대 전환’ 전망엔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제품 가격 반등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달 휘발유·경유의 물가 기여도는 -1.34%포인트에 달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가 이어지던 1년 전보다 휘발유·경유 가격이 각각 22.8%, 33.4%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상승률을 1%포인트 넘게 끌어내렸다는 의미다.2분기 실질소득 역대 최대 감소…소비 위축에 경기 ‘상저하저’ 우려 지난달 초 L당 1560원대로 내려갔던 휘발유 가격은 26일 1743.3원으로 올랐다. 같은 기간 경유 가격도 1370원대에서 1620원대까지 치솟았다. 6월 배럴당 70달러 안팎이던 국제유가가 지난달 이후 80달러대로 훌쩍 올랐고, 약 2~3주 시차를 두고 국내 석유류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다.이러한 추세는 다음 달에도 이어질 수 있다. 중국발 위기 영향으로 국제유가 상승세는 최근 주춤하지만, 여전히 실수요 측면의 가격은 고공행진 중이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영향을 제외한 실질 지출을 보면 중산층까지도 씀씀이를 줄였다. 물가는 크게 올랐는데 소득은 줄어든 여파다. 2분기 가구 실질소득은 역대 최대의 감소를 기록했다. 중국 경기 부진으로 수출 회복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한국 경제를 지탱하던 소비마저도 부진에 빠진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 경제 ‘상저하고’ 기대감도 점차 흐릿해지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파월 “물가 여전히 높아”…한국도 다시 3%대 예상파월 연준의장 “물가 너무 높다…필요시 금리 추가인상”한국도 유가상승 등 여파로 8∼9월 3% 넘을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가상승률 다시 3% 넘나…기름값 상승 여파, 농수산물도 불안그간 물가 하락에 크게 기여했던 휘발유·경유 가격이 급등한 데다 농수산물도 호우와 폭염, 추석 등과 맞물려 들썩이는 여파다. 다만 정부는 물가 상승률이 10월 이후엔 다시 내려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가 이어지던 1년 전보다 휘발유 가격은 22.8%, 경유는 33.4%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1%포인트 넘게 끌어내렸다는 의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제유가·농산물 가격 들썩···소비자물가 상승률 다시 3%대 전망올해 들어 둔화 흐름을 보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대를 올라설 전망이다. 국제 유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법원 5곳 중 4곳 “정부 강제동원 ‘제3자 변제 공탁’ 불가”법조계 “이례적 사건”…결국 대법원서 판단 가능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요 금융사 채용 큰장 … 최대 2600명 선발하반기 금융권 채용박람회은행·보험사 등 64곳 참여박람회서 현장면접 진행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