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인근에 파병 중인 청해부대 34진에서 우려했던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국방부는 18일 오후 대원들의 후송을 위해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에 태워 현지로 급파한다고 밝혔지만, 적합한 검사키트 등을 지급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방부 대원 국내 복귀 위한 수송기 투입 나서 청해부대 34진으로 파견된 문무대왕함. 해군 제공 아프리카 인근에 파병 중인 청해부대 34진에서 우려했던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국방부는 부랴부랴 18일 오후 대원들의 후송을 위해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 두대에 태워 현지로 급파한다고 밝혔지만, 적합한 검사키트 등을 지급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방부는 18일 보도자료를 내어 “이날 오전 8시 현재 확진자는 전날보다 61명 증가한 68명이다. 이 중 현지 병원엔 15명이 입원해 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지금까지 유전자증폭 검사결과가 나온 101명에 한정된 것으로 전체 대원 300여명에 대한 검사 결과가 나오면 확진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국방부 당국자는 “현재 증증 환자는 3명이지만, 현지 의료진이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로 후송이 가능할 것이라 보고 있다”고 전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는 “누가 신속항체검사 키트를 가져가도록 판단했는지 모르지만 문외한이 결정했다고밖에 해석할 수 없다. 더 빠르고 신속하게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왜 지급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당국자도 “항체검사는 이 사람이 현재 감염이 됐는지 여부를 아는 게 아니고. 과거에 감염이 됐을 때 항체가 몸에 생겼는지를 보는 것“이라며 “정말 청해부대가 항체검사 키트를 쓴 게 맞냐”고 되물었다. 대원들이 부적합한 진단키트를 통해 ‘음성’을 확인한 뒤 안심하고 지내다 격리 시기를 놓치는 등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다. 엄 교수는 이어 “청해부대가 2월에 출국하느라 백신 접종을 못했다고 하지만, 300명이면 적은 인원이다. 백신 한 박스를 냉동보관을 잘 해서 군용기에 태워서 보내면 끝날 수 있는 문제였다. 군의 대응이 부실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집단감염' 청해부대 전원 수송기로 조기 귀국...오늘 오전 추가검사 결과[앵커]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해군 청해부대 34진 장병 전원을 공군 수송기 2대에 태워 조기에 귀국시키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문무대왕함 승조원 가운데 6명이 확진되고 80여 명이 의심 증세를 보이는 가운데 승조원 전원에 대한 PCR 검사 결과도 오늘 새벽 나올 전망입니다.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기약 처방에 음성 믿고 방치...방역에 무너진 청해부대청해부대, 지난 2일 첫 감기 환자 발생 / 감기 환자 40여 명으로 늘자 항체검사키트 사용 / 항체검사는 코로나19 진단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해부대 간이 검사 50명 중 49명 양성...수송기 급파내일 오후 승조원 전원 태워올 수송기 현지로 급파 / 청해부대 5명 폐렴 증세…총 12명 현지 병원 입원 / 현지 사정으로 PCR 전수 검사 결과 아직 안 나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해부대 간이 검사 50명 중 49명 양성...이르면 오늘 오후 수송기 급파[앵커]코로나19 확진자 7명이 나온 청해부대 문무대왕함 장병 5명이 폐렴 증세로 추가 입원하면서, 입원 장병이 모두 12명으로 늘었습니다.간이 검사에서는 승조원 50명 중 4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비상이 걸린 가운데 국방부는 이르면 오늘 오후 수송기를 현지로 급파합니다.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