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10명 중 3명만 결혼···기혼 여성은 솔로보다 소득 낮아

청년 뉴스

청년층 10명 중 3명만 결혼···기혼 여성은 솔로보다 소득 낮아
결혼통계청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0 sec. here
  • 4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0%
  • Publisher: 51%

25~39세 청년 10명 중 3명만 결혼한 상태라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남성의 경우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경우가 미혼 남성에 비해 취업자 비중이 높고 소득도 더 많았지만, ...

25~39세 청년 10명 중 3명만 결혼한 상태라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남성의 경우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경우가 미혼 남성에 비해 취업자 비중이 높고 소득도 더 많았지만, 여성은 반대로 자녀 있는 기혼보다 미혼의 소득이 더 높아 대조를 이뤘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을 보면, 청년의 유배우자 비중은 2022년 기준 33.7%로 전년대비 2.4%포인트 낮아졌다. 2020년에 비하면 4.8%포인트 낮다. 연령 구간별 유배우자 비중은 35~39세 60.3%, 30~34세 34.2%, 25~29세 7.9% 등이었다. 유배우자 가구가 무배우자 가구보다 취업자 비중과 중위소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등록 취업자 비중은 유배우자가 73.9%로 무배우자보다 소폭 높았다.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가 4056만원으로 무배우자보다 836만원 더 많았다. 연령 구간별로 보면 25~29세에는 유배우자와 무배우자간 중위소득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35~39세 구간에서는 유배우자와 무배우자간 차이가 벌어졌다.

다만 유배우자 중에서도 성별 간의 차이가 있었다. 남자 유배우자의 중위소득은 5099만원으로 무배우자보다 크게 높았지만, 여성 유배우자의 중위소득은 2811만원으로 무배우자보다 낮았다. 등록 취업자 비중도 남자 유배우자의 경우 91.1%로 무배우자보다 높았지만, 여자 유배우자는 61.1%로 무배우자보다 낮았다. 결혼 후 여성의 경력 단절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자가 소유 비중에서도 배우자 유무 간 차이가 두드러졌다. 유배우자 가구의 주택 소유 비중은 31.7%로 무배우자 가구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다만 이는 유배우자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무배우자보다 높기 때문이기도 하다. 같은 연령대로 비교하면 25~29세 유배우자의 주택소유 비중은 12.9%로 같은 나이대 무배우자보다 7.7%포인트 높았다. 35~39세 유배우자의 주택 소유비중은 38.1%로 같은 나이대 무배우자보다 18.5%포인트 높았다.자녀를 덜 낳는 추세도 이어졌다. 유배우자 청년의 유자녀 비중은 2022년 기준 74.7%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줄었다. 주택 소유 비중은 유자녀 청년이 무자녀 청년보다 높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결혼 통계청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청년층 ‘그냥 쉰다’ 역대 최대···10명 중 7명 “구직 원치 않아”청년층 ‘그냥 쉰다’ 역대 최대···10명 중 7명 “구직 원치 않아”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이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쉬었다’는 청년 10명 중 7명 이상은 ‘일하기를 원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젊은 직장인 80% '업무 중 일 막히면 AI부터 찾아'한국 젊은 직장인 80% '업무 중 일 막히면 AI부터 찾아'(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한국의 Z세대(18∼27세)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업무 중 일이 막히면 맨 먼저 인공지능(AI)에 도움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비자 10명 중 8명 '고물가에도 추석선물에 지갑 연다'소비자 10명 중 8명 '고물가에도 추석선물에 지갑 연다'(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고물가와 경기침체 우려에도 소비자 10명 중 8명 이상은 추석을 맞아 지난해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수준의 선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훈 칼럼] 권력의 인과응보[최훈 칼럼] 권력의 인과응보전임 대통령 12명 중 퇴임 뒤 큰 탈 없이 수명을 다했던 대통령은 2명(김영삼·김대중)뿐. 문재인 전 대통령이 사법적 고행 없이 삶을 마친다면 12명 중 3명만 무탈이니 우리 국가 지도자의 불행 확률은 75% 이상이다. 박근혜·문재인 정부 비서실장 8명 중 수형이 2명, 검찰 수사를 받았거나 받는 이가 4명이다. - 최훈 칼럼,인과응보,권력,대통령비서실장,정치인,권력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간협 '의료공백에 간호사 10명 중 6명, 전공의 업무 강요받아'간협 '의료공백에 간호사 10명 중 6명, 전공의 업무 강요받아'(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전공의들이 병원들 집단으로 떠난 지난 6개월간 수련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60% 이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명 중 8명’ 수도권 1순위 청약자 몰린 사업장 공통점 보니‘10명 중 8명’ 수도권 1순위 청약자 몰린 사업장 공통점 보니올해 수도권 분양시장에서 1순위 청약자 10명 중 8명이 ‘분양가 상한제’(분상제) 아파트로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R114가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8월 21일까지 수도권 민간 분양 단지의 1순위 청약자는 총 66만619명으로, 이 가운데 51만8천279명(78.4%)이 분상제 아파트에 청약통장을 사용한 것으로 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4:2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