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돌풍에…삼성·하이닉스 '고성능·고용량메모리 개발 속도'
장하나 기자=글로벌 경기 침체로 '반도체 한파'가 몰아닥친 가운데 최근 업계의 화두인 인공지능 챗봇 '챗GPT'를 중심으로 향후 AI 반도체 수요가 폭증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온다.챗GPT 이미지5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0년 220억달러 규모였던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올해 553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2026년에는 861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현재 AI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반도체는 데이터를 한 번에 대량으로 처리하는 '병렬 처리' 방식의 그래픽처리장치다. GPU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엔비디아는 챗GPT 돌풍에 힘입어 1월 한 달간 주가가 30% 이상 급증하기도 했다.
챗GPT 등 AI 기반 서비스가 확장되면 GPU 등에 직접 데이터를 제공하는 고성능 HBM과 AI 학습 데이터 처리를 위해 지원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양, 128GB 고용량 서버 D램의 수요가 장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박명수 SK하이닉스 D램 마케팅 담당은 1일 콘퍼런스콜에서 챗GPT에 대해"언어 모델의 확장성, 대중을 활용한 AI의 일반화와 상용화라는 점에서 파급성이 크다"며"향후 웹 3.0으로 발전하면 기술적 진화에 따른 메모리뿐만이 아니라 업계 전반의 활용 확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분석했다.이어"메모리 관점에서는 속도와 용량이 중요하다"며"기존 서버 메모리 중에서 특히 128GB급 이상의 모듈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고 추후에는 64GB에서 128GB로 넘어가는 크로스오버 시점도 당길 수 있는 이벤트"라고 판단했다.
앞서 2021년 세계 최초로 메모리 반도체와 AI 프로세서를 하나로 결합한 HBM-PIM을 개발한 데 이어 AI와 머신러닝 등 데이터센터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CXL 기반 D램 메모리 기술을 내놓기도 했다. 작년 5월에는 기존 대비 메모리 용량을 4배 높인 512GB CXL D램을 개발했다.SK하이닉스, 현존 최고 D램 'HBM3' 양산…미국 엔비디아에 공급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고대역폭 제품인 HBM3는 엔비디아의 'H100'에 탑재돼 가속컴퓨팅 등 AI 기반 첨단기술 분야에 공급되고 있다.이 같은 기술 발전이 메모리 업계에도 중장기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왔다.한편 최근 화제의 중심에 선 챗GPT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와 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자 샘 올트먼 등이 공동 설립한 미국의 비영리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AI 챗봇이다.
챗GPT AI 모델의 성능 수준인 매개변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 모델인 GPT-3는 매개변수가 1천750억개에 달했다. 연내 공개가 예상되는 다음 모델 GPT-4의 매개변수는 조 단위로 예상된다.이런 가운데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최고경영자 순다르 피차이는 2일 구글이 수주 또는 수개월 내 자사의 인공지능 언어 프로그램 '람다'와 같은 AI 기반의 광범위한 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도 올해 상반기에 생성형 AI '서치GPT'를 선보일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챗GPT 글로벌 열풍에…네이버도 '상반기 서치GPT 선보일 것'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AI(인공지능) 챗봇 '챗GPT'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도 올해 상반기 새로운 검색 경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의사면허시험도 통과한 인공지능 챗봇? - BBC News 코리아ChatGPT: AI 챗봇 '챗GPT'에 커지는 표절 우려 오픈AI사가 선보인 인공지능 챗봇 '챗GPT'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표절 우려도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英 FTSE100 역대 최고…파운드 약세·금리인상 속도 둔화 기대 | 연합뉴스(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파운드화 약세와 금리인상 속도 둔화 기대에 힘입어 영국의 대형주 주가지수인 FTSE 100이 역대 최고를 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기술로 쓴 미국 잡지 기사, 내용을 봤더니…미국의 유명 출판사가 챗GPT 기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으로 작성한 기사를 잡지에 활용했다고 공개했습니다. 일부 언론사들이 10여 년 전부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주가 동향 등 수치를 중심으로 하는 간단한 기사를 만들어 냈지만, 호흡이 긴 잡지 기사도 충분히 작성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것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약개발에 동물 희생 끝?...美, 실험 의무 폐지동물실험 통해 개발 중인 약의 효능·안전성 확인 / 美 정부, 신약개발 동물실험 의무 → 선택 변경 / 동물실험 결과 임상시험과 다른 경우 많아 / 동물실험 중 학대 의혹…동물 복지 논란도 영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장동에 백현동·판교 호텔까지...수사 범위 넓히는 검찰이재명 시장 시절 추진…도지사 때 기공식 참석 / 서울중앙지검, 고발장 접수해 반부패수사3부 배당 / ’백현동 개발 특혜’ 사건도 반부패수사1부로 이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