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그다음이다. 북쪽의 분풀이성 폭주가 남북 군 사이의 충돌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인민 불만’ 다독이기 분석도]군사충돌 없게 정부 적극 행동을”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북한 당국이 16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를 폭파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합의한 4·27 판문점선언의 대표적 상징을 스스로 부숴버린 것이다.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13일 밤 담화에서 “멀지 않아 쓸모없는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예고’한 지 사흘 만이다. 김여정 제1부부장이 4일 담화로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은 뒤 북쪽이 실행에 옮긴 대남 조처는 지금까지 두가지다. 첫번째는 지난 9일 남북 사이 모든 직통 연락선을 차단한 행동이고, 두번째는 16일 오후 2시50분 개성 공동사무소 폭파다. 16일 오후 개성공단에 위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가 폭파되고 있다.
애초 북쪽은 “남쪽에서 법안이 채택돼 실행될 때까지 우리도 접경지역에서 남측이 몹시 피로해할 일판을 벌려도 할 말이 없게 될 것”이라고 공언했다. 북쪽의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이 이 범위 안에 있는지, 이를 벗어날지도 불분명하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북쪽의 최근 대남 강경 발언·행보는 그 궁극적 지향점이 모호하다. 무엇보다 개성 공동사무소 폭파와 같은 ‘파괴적 조처’를 취하면서도, 판문점선언을 포함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 합의를 파기한다”고 ‘선언’하지 않는 게 그렇다. 북쪽의 최근 행보에서 주목할 대목이 또 하나 있다. 염두에 둔 ‘관중’이 둘이라는 사실이다. 하나는 남쪽이고, 다른 하나는 “분노한 인민들”이다. 북쪽은 김여정 제1부부장의 4일 담화부터 이례적으로 ‘인민 필독 매체’인 에 빠짐없이 보도하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연천이 위험구역?' 삐라 단속지역 지정에 주민들 반발경기도가 대북전단 살포를 원천봉쇄하기 위해 접경지 일부를 ‘위험구역’으로 지정해 대북전단 살포 단체 등의 출입을 금지하기로 하기로 하자 연천군과 지역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선 요새화' 예고 8시간 만에 폭파…'삐라' 살포 예고폭파에 앞서서 북한은 오늘 아침, 그동안 남북이 합의해서 비무장으로 바꾼 지역에 군대를 다시 보내겠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합참 격인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가 나서서 전선을 요새처럼 만들고 남측으로 전단을 날리겠다고 했는데, 그 발표가 나온 지 8시간 만에 앞서 보신대로 개성에서는 연기가 피어올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남북합의 비무장 지역 군 재진출···전선 요새화'남북합의로 비무장화된 지역에 다시 진출해 전선을 요새화하겠다고 밝혔고, 남쪽을 향한 전단 살포도 예고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북한 공식 확인 '요란한 폭음과 함께 비참하게 파괴'북한 매체들은 16일 오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북측에 의해 폭파된 사실을 공식 확인했습니다. 중앙방송과 중앙TV 등은 이날 오후 4시 50분 보도를 통해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6월 16일 완전 파괴됐다'면서 '14시 50분 요란한 폭음과 함께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비참하게 파괴됐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참하게 파괴' 北, 연락사무소 폭파…개소 21개월 만북한이 오늘 오후 개성에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을 폭파했습니다. 대북전단을 문제 삼아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경고 수위를 높여오던 북한이 실제 행동에 나선 것입니다. 2년 전 4월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물로 그해 9월 문을 열었던 연락사무소는 1년 9개월 만에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