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심의 사고방식, 지역차별에 대한 비판이 아니었을까요? 서울공화국 인수위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차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 자리에서 지방공약 차별 논란이 벌어졌다. 인수위 측이 중앙공약을 먼저 조정한 이후 지방공약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하자 중앙공약과 지방공약을 구분하고 선후관계를 나눈것에 대해 재차 지역신문 기자의 질의가 나온 것이다.
11일 오후 인수위 브리핑에서 한 기자가 ‘대변인이 오전에 당선인 공약 중 중앙공약부터 하고 지방공약을 검토할 것 같다고 했는데 중앙공약 속도조절이 이뤄지면 지방공약은 더더욱 밀릴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물었다. 이에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은 “제가 알기론 지방공약을 안 한다는 건 아니고 중앙공약을 먼저 조정하고 있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방순회하고 있는데 거기서 지방공약에 대한 말씀을 주실 것”이라며 “조정을 하는데 있어서 중앙공약도 다 마무리가 안 됐기 때문에 지방공약에 대해서는 검토는 하되 시차를 두고 나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러자 부산의 지역신문인 국제신문 기자가 “‘중앙공약도 안 했는데 지방공약은 하겠느냐’라는 말로 들린다”며 “중앙공약이 있고 지방공약이 있는게 아니다. 지방에 사는 사람이나 서울에 사는 사람이나 다 같은 ‘지방 사람들’이고 국민들에게 필요한 공약을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어 “중앙공약 해보고 지방공약 하는 인식이 인수위 내 공통된 인식인지 대변인의 평소 하던 말 그대로인 거냐”고 물었다. 서울 중심 사고방식, 지역 차별 의식에 대한 지적이다. 이에 신 대변인은 기자들이 먼저 구분했다고 답변했다. 그는 “언론인들이 우리에게 질문할 때 중앙공약, 지방공약을 구분해 말한다”며 “국민의 생활 전체, 예를 들어 지방균형발전 등은 중앙공약”이라고 했다. 이어 “지역공약은 어느 지역의 어떤 인프라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그 지역에 해당하는 민원성 공약,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이라고 덧붙였다. 신 대변인은 “내가 나누기보단 언론인들이 쓰는 말을 받아서 썼다고 말하면 될 것 같다”고 해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인수위 ''만 나이'로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 통일 추진'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오후 초대 내각 장관 후보자 8인을 발표한 뒤 서울 종로구 통의동 20대 대통령직인수위 사무실을 나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육부 확진학생 내신시험 응시제안에…인수위 '유감'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승욱 이은정 기자=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1일 '코로나19 확진 학생에 대한 교육부의 내신 시험 응시 제한 방침에 대해 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