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결혼 건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지난해 신혼부부 수가 1년 전보다 7%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6400만원이었고, 1년차 신혼부부의 30% 남짓은 유주택자로 집을 가지고 결혼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코로나19 확산으로 결혼 건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지난해 신혼부부 수가 1년 전보다 7%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년차 신혼부부는 처음으로 20만쌍 아래로 줄어들었고 무자녀 신혼부부는 45.8%에 이르렀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6400만원이었고, 1년차 신혼부부의 30% 남짓은 유주택자로 집을 가지고 결혼 생활을 시작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1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신혼부부는 110만1천쌍으로 1년 전보다 7% 감소했다. 신혼부부는 매년 11월 기준으로 혼인 신고한지 5년이 지나지 않은 부부를 의미한다. 신혼부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로 신혼부부 수는 매년 감소율을 키워왔는데, 지난해에도 역대 최대폭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1년차 신혼부부가 전년 대비 10.4%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1년차 신혼부부는 19만1904쌍으로 처음 20만쌍 아래로 떨어졌다.
전체적인 혼인 건수가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던 와중에 코로나19까지 겹쳐 지난해 결혼한 부부가 크게 줄어든 탓이다.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비중도 2016년 이후 내리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무자녀 신혼부부가 45.8%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늘었다. 평균 자녀 수는 0.66명으로 1년 전보다 0.02명 줄었다. 혼인 연차별로 보면 3년차부터 유자녀 비중이 57.1%로 과반이 된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맞벌이 비중은 매년 꾸준히 늘어나 지난해 54.9%에 이르렀는데, 맞벌이 부부는 평균 자녀 수가 0.59명으로 홑벌이 부부보다 적었다. 초혼 신혼부부의 지난해 연간 평균소득은 64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6.9% 늘었다. 연간 소득 7천만원이 넘는 초혼 신혼부부의 비중은 35%로 1년 전보다 3.9%포인트 늘었다. 신혼부부의 혼인 연차별 평균소득을 보면 맞벌이 비중이 높은 1년차 부부가 가장 많았고, 3년차 부부가 가장 적었다. 1년차 신혼부부의 30.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 빙하기에 '집 산다'·'집 판다' 계획 모두 급락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주택 거래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내년 주택 거래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이 급감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이상민 해임건의안 본회의 통과…국힘은 퇴장더불어민주당이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묻기 위해 발의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 이 1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유권자, 2024 대선서 바이든-트럼프 '둘 다 싫다'미 유권자, 2024 대선서 바이든-트럼프 '둘 다 싫다' 조_바이든 미국_대선 도널드_트럼프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프랑스가 떨쳐버린 디펜딩 챔피언 징크스의 역사프랑스 4강 진출. 전대회 우승국이 8강을 통과한 건 1998년 이후 처음 있는 일... 믿기 힘들지만 그렇습니다.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