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처음 등장한 2022년 3010만 달러(약 432억원)에서 2023년 4억5500만 달러(약 6542억원)로 급증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179.1% 증가한 것이다. AI 앱 다운로드 건수는 2022년 1억1900만건에서 2023년 7억7700만건을 찍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91.8% 늘어난 14억9000만건을 기록했다. 앞서 시티그룹은 MS·메타플랫폼(페이스북 모회사)·아마존·알파벳(구글 모회사)의 지난해 설비투자 합계가 전년 대비 42% 늘어난 2090억 달러(약 28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 열풍 속에 지난해 전 세계 소비자들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에 쓴 돈이 1조8000억원 규모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직 이 분야에 빅테크들이 쏟아붓는 투자 규모에는 크게 못 미친다.
23일 앱 데이터 분석 기업인 센서타워의 '2025 모바일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챗봇과 이미지 생성 도구 등 생성형 AI 제품의 인앱 결제 규모가 지난해 12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챗GPT 출시 이후 구글 제미나이,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등 빅테크들도 AI 모델을 앞다퉈 내놓으며 기술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다.특히 지난해 4분기 AI 챗봇 다운로드 건수가 4억2700만회로 전년 동기 대비 119% 늘어, 챗봇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이름·설명 등에 AI 관련 용어가 포함된 앱의 다운로드는 2019년 50억건에서 지난해 170억건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앱 다운로드 건수 가운데 13% 정도에 해당한다. 한국의 경우 2019년 7700만건에서 지난해 2억2000만 건으로 늘어났다.한편 AI 앱 관련 매출은 이 분야에 쏟아붓는 빅테크들의 천문학적 투자 규모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이중 80%는 생성형 AI의 연구개발과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 건립 등에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현대차증권, 지난해 영업이익 547억원…전년 동기 대비 16%↓현대차증권은 22일 영업(잠정)실적 공시(공정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547억원, 당기순이익 36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6%, 32% 감소한 수준이다. 분기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32% 증가했으며 3분기 영업이익 146억원을 합한 지난해 하반기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국인 부동산 매수, 전년 대비 12% 증가 1만7천 명 넘어지난해 국내 부동산 매수 외국인 수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만 7천 명을 넘어섰다. 중국인이 전체 매수인의 65%를 차지하며, 특히 경기도, 인천, 서울 등에서 외국인 부동산 매수가 증가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국인 부동산 매수, 1년 전보다 12% 증가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을 사들인 외국인이 전년 대비 12% 증가하여 1만7478명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이 65%를 차지하며 경기도 부천, 화성, 안산 등에 집중적으로 매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살까팔까] 이차전지株 업황 한파에 작년 실적 반토막…새해 기지개 켜나(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이차전지 기업들의 지난해 실적이 전기차 수요 부진 여파로 전년 대비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난해 3분기 가계 소득 늘었지만 집 사느라 여유자금 증가폭 줄어지난해 3분기 가계의 소득은 늘었지만 집을 구입하는데 여유자금 증가 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네이버페이 해외 결제 7.7배 증가...결제 가장 많은 곳은 일본 ‘빅카메라’해외가맹점 확대·프로모션 진행에 네이버페이 해외 QR결제액 전년 대비 결제액 7.7배 성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