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추가모집을 진행했던 의약학계열 대학 10곳 중 9곳가량이 지방권 의대였던 것으로 나타났...
지난해 추가모집을 진행했던 의약학계열 대학 10곳 중 9곳가량이 지방권 의대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열풍에도 불구하고 수험생들의 수도권 선호 현상으로 인해 지방권 의대에 결원이 생긴 결과다.
5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전국 의약학계열 대학의 수시·정시전형 추가모집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총 109개 대학 중 24곳이 추가모집을 했다. 이 가운데 21곳이 지방권 대학이었다.의대 4곳은 가톨릭관동대, 단국대, 경상국립대, 동국대였다. 치대 2곳은 조선대와 경북대, 한의대 4곳은 상지대, 동국대, 대전대, 우석대였다. 수의대 3곳은 전남대, 제주대, 경상국립대였고, 약대 11곳 중 지방대는 충북대, 경성대, 제주대, 경상국립대, 부산대, 인제대, 우석대, 순천대 등 8곳이었다. 의대 열풍에도 불구하고 의약학계열 대학에서 추가모집이 있었던 이유는 수도권 대학에 대한 선호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험생은 총 6번을 지원할 수 있는 수시전형에서 수도권과 지방권 의대에 모두 합격할 경우 수도권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지방권 의대에서 미달한 수시 정원이 정시 정원으로 이월되더라도 같은 이유로 정시에서조차 결원이 발생하기도 한다.
정부가 의대 정원을 확대하는 방침을 논의하고 있지만 지방대 의대를 중심으로 정원이 늘어날 경우 수도권 쏠림을 완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정부가 지난 2일 ‘교육발전특구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교육발전특구로 선정된 지역의 의대에서 지역인재 선발 비율을 확대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오히려 수도권 지원율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앞으로 의대 정원을 늘리고 지역인재 선발 비율도 확대하면 이러한 격차는 더 커질 수 있다”며 “수도권과 지방 의대 지원이 갈수록 양극화하면 지역 의대의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나올 수 있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대 보낸 부모들 공통점은?... 자녀랑 ‘이것’ 많이 했다흥미·적성 대화 자주 나눌수록 의대·교육 등 전문분야 선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종합격투기 홀릭’ 저커버그, 격투기 연습 중 무릎 부상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3일(현지시간) 종합격투기 연습 경기를 하다가 무릎 인대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시간 조사 마친 이선균 “솔직하게 말씀 드렸다”마약 투약 혐의를 받는 배우 이선균씨(48)가 시약 검사 후 1주일 만에 경찰에 출석해 조사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상 이상으로 상황 심각…무차별 폭격에 죽음 공포…계속 관심 두고 알려달라”연일 이스라엘의 폭격이 이어지고 있는 가자지구에서 거의 한 달 만에 탈출한 한국인 가족이 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현희 전 연인’ 전모씨 구속…“도망 우려”전 국가대표 펜싱선수 남현희씨의 재혼 상대로 알려졌다가 사기 혐의가 드러난 전모씨(27)가 3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