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밤·흠뻑쇼 등 대형 인기공연이 열리면 인근 숙박시설 가격도 50% 넘게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29일 성수기 숙박요금 동향 파악을 위해 숙박 예약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숙박시설 347곳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 7∼8월 열린 ‘2024 워터
한국소비자원이 29일 성수기 숙박요금 동향 파악을 위해 숙박 예약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숙박시설 347곳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 7∼8월 열린 ‘2024 워터밤’ 축제의 경우, 인근 숙박시설 47곳 중 25.5%가 워터밤 기간 동안 주말 숙박요금을 평균 52.4%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가격을 올린 ㄱ호텔은 워터밤 직전 주말 가격이 16만원이었던 방을 개최 기간에는 80만원에 팔았다. 가격상승률은 400%에 이른다.
가수 싸이의 인기 공연인 ‘흠뻑쇼’ 역시 인근 숙박시설 41곳 가운데 68.3%가 주말 숙박요금을 평균 50%가량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 모텔은 개최 직전에 9만원이던 방을 개최 기간 25만원에 팔았고, 다른 호텔은 16만500원이었던 방을 29만5000원에 팔았다.대형 공연이나 축제가 없더라도 7∼8월 여름 성수기 동안 숙박요금은 비수기에 비해 크게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텔은 가격상승률이 최대 196%, 호텔은 최대 192%로 두배 가까이 올랐고, 펜션은 가격상승률이 최대 11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국내 숙박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9.1%가 ‘숙박시설이 시기별로 이용요금을 예약 누리집에 사전 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조사대상 숙박시설 중 83.6%는 성수기 기간 이용거래 조건을 명확히 안내하지 않았다. 또 환급기준에 대해서도 조사대상의 61.7%가 성수기·비수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환급기준을 고지하거나 특정 기간의 환급기준만 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숙박사업자에게 숙박시설 추가 이용요금을 사전에 고지하고, 명확한 성수기 날짜 및 해당 가격·환급기준을 사전 고지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너희가 처음이야'... 토종견 보러 몽골까지 간 사연'살아가면서 대부분 희미해져 가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어릴 적 꿈이다' 라는 영화 대사를 본 적 있다. 반려견 훈련사가 되기 전 나는 어릴적부터 개에 푹 빠져있었다. 초등학생 때, 이미 개에 대한 책은 40여 권이 넘었는데 그 중 유독 강렬한 인상을 줬던 이야기가 있다. 광활한 몽골 대지에서 사는, 전설의 몽골 토종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 아닌 공대 간 ‘1995년 수능 수석’…29년 지난 지금은?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 수석을 한 뒤 서울대 공대에 진학한 정성택씨의 근황이 네티즌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수능 전국 수석을 한 이들은 대부분 교수 및 법조·의료계를 택했지만, 정씨는 스타트업 창업 등 산업현장에서 일하고 있어서다. 최근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정씨의 근황이 담긴 글이 올라왔다. 1976년생인 정씨는 1995년 수능에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가 전기 과소비?'…8월 최고누진요금 1천만세대 돌파(종합)(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일반 가정의 여름 전기 사용량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 속에서 지난 8월 이례적 폭염까지 닥쳐 가정용 전기요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독자경영 선언' 한 달…한미약품-사이언스 곳곳 불협화음(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한미약품그룹의 대주주 간 경영권 분쟁 가운데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128940]이 지난 8월 말 '독자경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엄마아빠가 줬어요”…자금 출처 밝힌 미성년자 집주인 확 줄었다지난해 주택을 구매한 미성년자가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한 비율이 지난 5년 간 가장 낮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규제 완화로 자금조달계획서를 의무 제출해야 하는 대상이 대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열려있던 방화문이 피해 키웠다'…부천 호텔 화재도 '인재'(부천=연합뉴스) 강영훈 기자=지난 8월 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기 부천 호텔 화재는 활짝 열려 있던 방화문, 경보기 작동 임의 차단, 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