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업계가 아랍에미레이트(UAE)의 자국 항공사 한국행 운항 횟수 증대 요구에 발을 동동거...
이미 중동계 항공사들의 아시아발 유럽행 시장 점유로 큰 타격을 입고 있는 만큼 UAE 측 항공편이 늘어날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어서다. UAE 측은 한국을 경유해 유럽으로 가는 환승객 수요를 노리고 있다.주목할 점은 대한민국과 UAE 간 항공노선의 경우 국내 항공사들이 약자 위치에 있다는 사실이다. 양국 항공협정 상 주15회를 운항할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대한항공만 218석짜리 A330을 주7회 운항하고 있다.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기준 한·UAE 간 공급은 약 41만 석 규모였다. 하지만 실제 양국 간 수요는 공급의 36% 수준인 15만 명 정도에 불과했다.때문에 UAE의 증편 요구를 허용할 경우 국내 항공사의 중동 직항노선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업계에서는 한-UAE 간 주 7회가 추가 증편되면 연간 1300억원 수준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UAE 등 중동 항공사들은 막대한 보조금을 바탕으로 재정 부담에 대한 걱정 없이 국제항공노선을 확장하며 단기간에 몸집을 부풀리고 있다”며 “보조금 수령 및 혜택이 공정경쟁의 틀을 무너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항공사들은 공정경쟁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노선 공급을 줄이거나 철수에 나서고 있다. 2002년 UAE와 항공자유화 항공협정을 체결한 미국은 중동 항공사들의 잇따른 공세를 버텨내지 못하고 물러났다. 델타항공의 경우 2016년 애틀랜타~두바이 노선, 유나이티드항공은 같은 해 워싱턴~두바이 노선을 단항했다. 그나마 올해 3월 유나이티드항공이 주7회 뉴욕~두바이 노선을 띄웠지만 미주~중동시장 패권은 중동 항공사에게 돌아간 뒤였다.유럽 지역의 상황도 비슷하다. 독일 루프트한자는 2015년 동남아시아 및 아프리카행 노선 20여개 운항을 중단했다. 에어프랑스는 아부다비, 도하, 하노이, 프놈펜 등의 운항을 잇달아 중단했다.항공업계 관계자는 “중동 항공사들이 세계 항공산업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는 만큼 국내 항공산업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장기적 안목을 갖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대통령 “중동 사태에 경제 불안 커질 수 있어…긴밀 대응을”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동 사태까지 겹치면서 대외경제 불안 요인이 커질 수 있다”며 “관계 부처는 국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중동 사태에 경제 불안 커질 수도…긴밀 대응을”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동 사태까지 겹치면서 대외경제 불안 요인이 커질 수 있다”며 “관계 부처는 국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사기 특별법 5개월...피해자들은 여전히 운다 - 매일경제수법 갈수록 지능화 조직화돼 피해자들 구제책 몰라 발동동 10명 중 3명꼴 피해 신청도 못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스라엘-하마스 충돌에 국제유가 5% 급등…달러·금 동반 강세정부 “중동 인근 항해 유조선·LNG 정상운항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일 선물이었나…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조용히 웃는 푸틴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블라미디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행보를 두고 러시아가 중동 지역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