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터에 따르면 제조국이 오표기된 품목은 104개로 2021년부터 최근까지 판매가 이뤄졌습니다. 세터는 해당 기간 판매된 제조국 오표기 상품에 대한 환불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국내 패션 업체가 제조국 오표기로 대규모 환불에 나서는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입니다.
중국산으로 기재돼 있는 라벨과 한국산으로 고지된 인터넷 페이지. 인터넷 커뮤니티 갈무리 국내 유명 패션 브랜드가 중국산 옷을 국내에서 제조한 것처럼 속여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 서울지방사무소는 16일 패션 브랜드 ‘세터’ 쪽의 자진신고를 접수해 절차에 따라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터는 지난 4일 중국에서 생산한 상품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할 때 한국산으로 잘못 표기했다며 이런 사실을 공정위에 알렸다. 이 브랜드는 몇년새 엠제트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며 급성장해 올해 매출 5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터의 제조국 오표기 논란은 소비자들이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 문제를 제기하면서 촉발됐다. 무신사 등 유명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일부 상품들이 한국산이라고 고지됐는데, 소비자들이 받아 본 실물 상품의 라벨에는 중국산이라고 표기돼 있었기 때문이다.
세터는 지난해에도 일부 제품에 고급 부자재를 썼다고 홍보했다가 이후 별다른 안내 없이 자사 제품으로 바꿔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세터는 초기 생산분에만 고급 부자재를 사용했고 이후 부자재를 바꾸는 과정에서 판매 정보를 미처 수정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한 소비자는 “제조국 논란, 부자재 논란에 더해 디자인 카피 논란까지 일고 있다”며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급부상했다가 폐업한 스베누를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수익성’을 위해 고의로 제조국을 속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의성이 다분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렇게 오랫동안 여러 상품에서 제조국 표기를 잘못하는 경우는 있을 수 없다”며 “중국은 공임비가 싸면서 기술력이 좋지만 생산단위가 크고, 퀄리티 체크가 어려워서 무턱대고 생산을 맡기기엔 위험성이 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세청, 메가스터디·시대인재·종로학원 전격 세무조사국세청이 메가스터디 등 대형 입시학원에 대한 동시다발 세무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킬러문항’ 배제 지시 뒤 사교육계를 향한 정부의 압박이 세무조사로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정위, 은행 이어 증권사도 조사 착수…수수료 등 담합 혐의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송은경 김다혜 기자=시중은행의 대출 금리·수수료 담합 혐의를 조사 중인 공정거래위원회가 대형 증권사에 대해서도 동시다발적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동산 조사는 했는데... '국회의원 코인 전수조사' 동의서 제출 더딘 이유는김남국 의원 코인 사태로 촉발된 국회의원 전수조사에 대해, 제도상 미비와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물려 부동산 조사 때와는 달리 동의서 취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보는Y] 쓰고남은 수술용 프로포폴 슬쩍한 의사...병원은 '쉬쉬'대형병원에서 쓰고 남은 프로포폴 사라져 / 마취과 레지던트가 프로포폴 빼돌렸다 적발 / '용기에 남은 프로포폴 조금씩 긁어모아' / 다른 직원 보고받고서야 진상 조사 착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