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등 일부 외신이 '중국 정부가 일부 비료 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고 보도하면서다. 중국 내에서 문제가 된 건 비료용 요소에 한정됐고, 비료용 요소의 중국 수입 비중은 10%대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8일 기획재정부는 '2021년 65%였던 중국의 비료용 요소 수입 비중은 국내 기업의 수입 다변화 노력으로 올해 1~7월 17%로 줄었다'며 '비료 완제품 재고량은 25만9000t으로 연간 소요량(96만t)의 27% 수준이다.
2년 전 ‘요소수 악몽’ 재연되나 2021년 중국의 요소 수출 중단의 여파로 국내에서 요소수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서 화물차 등 경유차 운전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사진은 당시 10여 일만에 요소수를 공급 받아 판매를 재개한 대전 서구 구봉산셀프주유소. 김성태 객원기자
8일 기획재정부는 “2021년 65%였던 중국의 비료용 요소 수입 비중은 국내 기업의 수입 다변화 노력으로 올해 1~7월 17%로 줄었다”며 “비료 완제품 재고량은 25만9000t으로 연간 소요량의 27% 수준이다. 연말까지 수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론 비료용 요소의 수출 통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이어서 수출 중단은 세계 곳곳에서 요소와 요소수 등 관련 상품의 부족 현상이나 가격 상승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올해 1~7월 중국산 요소를 총 16만1447t을 수입했다. 한국이 수입하는 산업용 요소 가운데 중국산 비중은 2021년 71%에서 올해 상반기 90%로 높아졌다. 이른바 ‘요소수 대란’을 겪은 이후 수입다변화로 한 때 비중을 낮췄으나, 중국산 요소의 가격 경쟁력 우위로 국내 업체가 다시 중국을 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번 중국 일부 기업의 요소 수출 제한은 비료용 요소로 한정돼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또 요소수 대란오나’···“중국, 자국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7일 보도했다. 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요소 수출 중단 지시'...요소 대란 또 오나?[앵커]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요소 수출 중단 지시'...요소 대란 또 오나?[앵커]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요소 수출 중단설'에 긴급 점검...'차량 2달 치 확보'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2년 전 악몽 재현되나...외신의 중국 상황 보도 '파장''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단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재부 “중국 정부, 비료용 요소 수출 통제 안해…요소 수급 지장 없어”최근 중국이 비료용 요소 수출을 중단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정부가 공식적인 수출 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