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산업 '고전'…작년 폐업 68% 급증한 5천746곳
박종국 특파원=중국 반도체 산업이 세계 반도체 업황 악화와 미국 수출 규제의 영향으로 지난해 폐업 건수가 70% 가까이 늘어나는 등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021년 3천420개를 더해 2년 새 9천166개가 문을 닫은 것이다.2019년과 2020년 각각 1천294개, 1천397개였던 중국의 폐업 반도체 업체 수는 세계 반도체 업황이 꺾인 2021년 전년보다 1.4배 늘었고, 미국의 중국 상대 반도체 수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작년에 더 급속히 증가했다.대표적인 사례가 삼성전자와 TSMC에 도전장을 내밀었던 파운드리 업체 우한훙신반도체의 몰락이다.
14나노미터 이하 미세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를 제조하겠다며 2017년 출범한 이 업체는 중앙정부와 우한시로부터 153억 위안의 보조금을 받는 등 총 1천280억 위안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살아남은 중국 반도체 업체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또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20개 반도체 업체 가운데 80%가 작년 동기 대비 순이익이 감소했고, 이 중 작년에 흑자를 냈던 상당수 업체가 적자 전환했다. 다만 장비업체 ACM리서치 상하이가 중국 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작년 매출과 순이익이 각각 2배가량 급증하는 등 일부 반도체 장비업체들은 미국의 수출 통제에 따른 중국산 대체 효과로 반사이익을 챙겼다.중국의 한 반도체 전문가는"반도체 시장은 고도의 기술력이 있는 선두 업체들만 살아남을 수 있는 곳"이라며"반도체 산업에 뛰어들어 기존 업체들을 넘어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중국에는 여전히 17만개의 반도체 업체가 있다"며"올해 글로벌 반도체 업황이 작년보다 더욱 악화할 수 있고,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도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더 많은 반도체 업체가 도태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국무 '중국 방문 다시 계획할 의향 있어…美中간 소통 필요'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미국 상공을 침입한 중국 정찰풍선 사태로 취소된 자신의 중국 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카오 1분기 영업이익 711억원…작년 동기 대비 55.2%↓(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코스피 상장사 카카오[035720]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71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장 중견기업, 작년 R&D투자 12.5% 늘렸다…삼성전자 21% 수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지난해 국내 상장 중견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이 전년보다 1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與지도부 만찬서 文 중국 방문 당시 '혼밥'에 '외교적 결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차지연 류미나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힘 지도부와 지난 2일 만찬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의 2017년 중국 방문 당시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허청·대검찰청, 기술유출 범죄 '솜방망이 처벌 해결' 맞손 | 연합뉴스(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국내 철강 기업 제조 기술을 중국 경쟁사로 유출한 A씨는 법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