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간의 국경절 연휴 기간 중국 국내 여행객과 관광 수입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
8일간의 국경절 연휴 기간 중국 국내 여행객과 관광 수입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진했던 내수 회복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 속에 일부 글로벌 투자은행은 올해 중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했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국경절 연휴였던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6일까지 국내 여행객 수가 모두 8억260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고 인민일보가 8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1.3% 늘어난 것이며,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에 비해서도 4.1%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연휴 전체 관광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9.5% 늘어난 7534억3000만위안을 기록했다. 관광 수입 역시 2019년과 비교해도 1.5% 늘어났다.해외 여행 수요도 상당 부분 회복됐다. 국가이민관리국에 따르면 국경절 연휴 기간 전체 출입국자 수는 1181만8000명으로, 하루 평균 147만7000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배 많은 것이며, 2019년 국경절 연휴 때의 85.1% 수준이다. 많이 찾은 해외 여행지로는 태국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한국 등이 꼽혔다. 유럽 같은 장거리 여행지도 지난 5월 노동절 연휴에 비해 여행객이 크게 늘었다.
중국은 이번 국경절 연휴의 여행 수요 회복이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음식 배달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메이퇀은 연휴 기간 전국 서비스 소매 매출액이 2019년에 비해 153% 늘었고, 요식업 매출은 254%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이런 기대감을 반영해 글로벌 투자은행인 시티그룹과 JP모건은 각각 4.7%와 4.8%로 낮췄던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5%로 소폭 상향했다. 다만 이번 연휴 특수가 지속적인 소비와 경기 회복세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중국 연휴 여행객, 코로나 전보다 4.1% 늘었지만 소비는 저조중국이 최근 ‘중추절·국경절’ 연휴 동안 국내 여행객 수가 코로나19 이전보다 4.1% 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의 소비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중국 e스포츠, 글로벌 왕자를 꿈꾸다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한민국 e스포츠 선수단이 출전한 전 종목에서 메달을 따는 데 성공하면서 더 많은 사람이 e스포츠를 보편적인 산업 중 하나로 인식하게 됐다. 5G 기술의 확산 또한 e스포츠 산업 발전의 밑거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e스포츠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는 중요 요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한국 콘텐츠진흥원에서는 최근 중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산 반등했지만 소비는 뒷걸음...경기회복 진입 논란[앵커]반도체 효과에 힘입어 8월 산업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하지만 소비는 두 달째 감소하고 물가는 오름세입니다.정부가 기대하는 경기 회복 전망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복귀 초읽기, 이재명 앞에 놓인 과제들단식 후유증 회복 중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당무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돌아오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메모리 반도체 불황 끝?···D램 현물가격 반등한동안 침체기를 겪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2년 넘게 하락세를 이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암스테르담, 브뤼셀, 오스틴의 '도넛 실험'은 성공할까[에너지 전환, 그 중심에 가다] 코로나 이후 도시 재건 방안으로 도넛 경제 모델 채택한 암스테르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