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조주완 CEO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 기자간담회에서 인도 법인의 IPO는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중국 업체와의 경쟁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제품 리더십 우위 유지, 비용 캐치업, 사업 모델 차별화 등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조 CEO는 LG전자의 미래 전략으로는 인도 시장 확장, 구독 사업 및 플랫폼 기반 사업의 성장,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등을 꼽았습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8일(현지시간)'인도법인의 기업공개(IPO)는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고 자금 유입은 부가적인 것'이라며'인도에서 정말 사랑받는 국민 브랜드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조 CEO는 이날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 CES 2025 '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지금도 인도에서 냉장고, 세탁기, TV 등 모든 제품이 1등을 하고 있지만 여기서 끝을 내고 싶진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업계에서는 통상 DRHP 심사에 3개월가량 소요되는 점 등을 감안해 LG전자 의 인도증시 상장이 오는 4∼5월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 CEO는'인도가 1인당 소득은 낮지만 엄청난 인재를 가지고 있어 인도의 인재를 확보하고 싶고, 앞으로 많은 공장도 지을 것'이라며'현지 완결형 사업을 하고 확대하는 꿈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업체와 경쟁 패러다임이 가격에서 기술 경쟁으로 고도화되는 가운데 조 CEO는'그동안 중국의 위협에 대해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부터는 실제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할 때가 왔다'고 말했다. 전날 중국 TCL과 하이센스 등의 부스를 둘러봤다는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은'트럼프 1기 때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관세 때문에 거의 장벽으로 막혀 있었는데 최근에는 미국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TCL의 미국향 히트콤보 세탁기 등을 예로 들었다.조 CEO는'중국이 내수가 어렵고 미국과의 분쟁을 통해 큰 시장에 접근하기 어려우면 가격 경쟁력을 더 강하게 갖출 수 있는 위안화 절하 등을 무기로 가지고 나올 수 있다'며 제품 리더십 우위 유지, 비용 캐치업, 사업 모델·방식 차별화 등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LG전자는 올해부터 이를 위해 CEO 주관 점검 체계를 새롭게 구축하기로 했다. 각 사업본부와 본사 조직이 ▲ 제품·기술 ▲ 제조원가 ▲ R&D·운영 등의 영역에서 리더십 확보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CEO가 분과별 진척 상황을 직접 챙기는 형태다.아울러 지난해 2조원에 육박했던 구독 사업의 매출은 오는 2030년까지 지난해의 3배 이상으로 키우고, 웹(web)OS 등 플랫폼 기반 사업의 매출 규모는 현재(1조원)의 5배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최근 삼성전자가 뒤늦게 가전 구독 사업에 뛰어든 것에 대해 조 CEO는'그 안에서 경쟁해야 하지만 시장을 더 키울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에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조 CEO는'구독 사업의 핵심은 할부가 아니라 케어'라며'케어 매니저의 역량, 네트워크, 오래된 경험이 우리의 강점'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트럼프 2기 출범을 비롯해 지경학적 위협이 현실화하는 것에 대해서는'어려운 상황이지만 여전히 다양한 기회가 시장과 고객에 존재한다'며'여우에게 쫓길 때마다 열어보는 복주머니처럼 생산지 조정 등의 시나리오를 다 준비해 놨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LG전자는 내·외부 전문가와 협력해 직면한 이슈별로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최적의 대응책을 찾는 '플레이북(Playbook)'을 준비, 외부 환경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새로운 기회 발굴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 조주완 CEO 인도 IPO 중국 업체 경쟁 구독 사업 플랫폼 기반 사업 CES 2025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LG전자 조주완 '불확실성 속 중국 추격 대응해야…印은 가슴 뛰는 시장' [CES 2025]조 CEO는 지난해 9월 IFA 2024에서 '중국 업체는 무서워해야 할 대상'이라고 했는데 이번에도 중국 위협 관련, '그간 위기를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실제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가전 담당 류재철 HS 사업본부장(사장)은 '눈여겨 봐야 할 부스가 하이센스, TCL이었다'라며, '트럼프 1기 때는 고관세 때문에 거의 막혀 있었는데 이제 미국 시장까지 겨냥하는 느낌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조 CEO는 IPO에 대해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라며 '인재 확보 등 인도 현지 완결형 사업을 해나가고 확대해가는 꿈을 갖고 있다'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권도형, 미국으로 범죄인 인도몬테네그로 법무부 장관이 권도형씨에 대한 미국으로 범죄인 인도 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기각 결정으로 권씨의 범죄인 인도 절차가 재가동되며, 미국으로 인도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권씨, 미국으로 신병 인도… ECHR 제소 가능성몬테네그로 법무부장관, 권씨에 대한 미국 방송 인도 명령. 권씨측, 결정문 전달 전 신병 인도 거부 주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도 경제개혁 주역’ 만모한 싱 전 총리 별세20년 이상 공직에서 일하며 인도 경제성장을 이끈 주역으로 평가받는 만모한 싱 인도 전 총리가 뉴델리에서 26일(현지시간) 사망했다. 향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참사 닷새 만일, 유류품 인도 및 시신 인도 진행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닷새째인 2일, 수거된 유류품이 가족 품으로 전달되고 시신 인도 절차도 진행 중이다. 수습당국은 현재까지 수거된 1000여건의 유류품 중 221건에 대한 소유자를 확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리치: 맨손으로 부자, 암바니 가문의 성공 스토리인도 그룹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의 주인 암바니 가문의 놀라운 성공 스토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