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소 하청노동자의 '치열한 삶' 시로 펴낸 김윤삼 시인 김윤삼_시인 울산_하청노동자 박석철 기자
김윤삼 시인의 말에 따르면, 노동자의 도시 울산에서 가장 치열한 노동 현장은 조선소 내 하청 노동자들이 일하는 현장이다. 고등학교 때 실습 나간 조선소의 하청노동자로 5년을 일하다 현대자동차 정규직 노동자로 32년을 일하고 있는 김윤삼 시인. 한 겨울 찬바람과 삼복더위 땡볕을 고스란히 맞으며 해야만 하는 선상에서의 힘든 노동을 회상한 말이다. 특히 조선소에서 잊을만 하면 발생하는 노동자의 산재사고 서사를 직접 보았기 때문이기도 하다.그는 노동자로 치열하게 살면서도 시 쓰기를 멈추지 않았는데, 이번 시집 는 '조선소 하청노동자로서의 5년이 자동차 노동자 32년의 세월과 맞먹는 고통이었던' 그 경험을 고스란히 담은 것이라고 한다.
시 '지문'에서는"간판 없는 비정규직, 사이렌도 울지 않습니다/평소 나라는 말보다 우리라는 말을 즐겨 쓴/그의 지문만이 사람이라고 외칩니다"라고 읊조렸다. 모두 투쟁시이자 김영삼 시인의 노동 경험담 체온을 느껴지게 하는 글이다. 김윤삼 시인은 1966년, 노동자의 도시 울산의 조선소가 지척인 경주 감포에서 태어났다. 울산공업고등학교에 입학해 조선소 하청노동자로 실습을 나가 조공으로 용접과 제관, 배관 일을 했다. 지금은 자동차 회사에서 정규직으로 노동조합 현장 조직 활동을 한다.한편 이인휘 소설가는 추천사에서 "김윤삼 시인은 사십 년을 노동자로 살았다. 그냥 노동자로 살면서 흘러가는 대로 산 것이 아니라, 왜 자신이 노동자가 됐으며, 노동자란 우리 사회의 어떤 존재이며, 인간으로서의 노동자의 삶이란 무엇인지를 찾아가며 생각의 뿌리를 키워왔다"고 소개했다.
이어"이번에 실린 시들은 그의 사십 년 세월이 만들어낸 온몸의 노래다"라며"가난과 고된 노동과 멸시를 겪었던 시간들. 그 차별과 억압을 넘어서기 위한 투쟁과 구속과 죽음의 노래이다. 그 노래가 격하지 않고 부드러우며 서정적이다"라고 적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21시간 생환 말고, 갱도 안 16시간 ‘막장 노동’ 살펴야죠”봉화 광산에서 221시간 만에 기적적으로 생환한 박정하 광부.. 그는 ‘막장 인생’ 광부의 비참한 삶을 전하며 최소한의 처우에 대해 호소했습니다. 🔽 박정하 광부 인터뷰 전문 읽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장 치열한 전투' 백마고지 참호서 산화…故 편귀만 하사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6·25전쟁 기간 가장 치열한 격전지로 기록된 백마고지 전투에서 산화한 용사의 유해가 70년 만에 가족의 품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경심 눈물의 최후진술 '딸·아들 삶 망쳐...천하의 나쁜엄마' | 중앙일보'남편이 얼토당토않게 공범으로 기소돼 남편에게 면목이 없다'고 말했습니다.\r정경심 최후진술 조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삶] 김종인 '역대 대통령 대부분이 준비안된 사람들이었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윤근영 선임기자=김종인(82)은 60년간 직간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했다. 여야를 넘나들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각 정당이 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란 유명 여배우, 히잡 벗고 반정부 시위 연대이란 유명 여배우, 히잡 벗고 반정부 시위 연대 타라네_알리두스티 히잡 이란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희생자 가족 모임을 제안합니다'양 변호사가 모임을 제안하며 자신의 페이스북 등 SNS에 올린 논의 사항은 ▲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구조 활동, 병원 후송 경위 ▲ 참사 발생 원인 및 참사 수습 과정에 대한 설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