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환자가 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할 경우 본인부담금을 높이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 〈사진=연합뉴스〉 경증환자가 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할 경우 본인부담금을 높이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합니다. 응급실 과밀화를
경증환자 가 응급의료센터 를 이용할 경우 본인부담금을 높이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합니다.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해 중증·응급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기 위한 대책입니다.정부에 따르면 응급실을 이용하는 경증·비응급환자는 약 42%입니다. 또 응급실을 방문한 코로나19 환자의 95% 이상은 중등증 이하의 환자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이들을 지역 병·의원으로 분산하기 위해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 4~5에 해당하는 경증환자와 비응급환자가 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한 경우 외래진료 본인부담분을 현행 50~60%에서 더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중등증 이하 응급환자는 지역응급센터, 응급의료기관 등에서 우선 진료하고 증상이 악화할 경우 권역센터와 거점 지역센터로 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신속 전원체계도 강화합니다.응급실 전문의가 환자를 진찰하는 경우 지난 2월부터 적용한 진찰료 100% 가산 금액에 대해 추가 상향을 추진합니다.이외에도 정부는 중증·응급환자수용률, 병원 간 전원 환자 수용률 등 비상진료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해 우수한 기관에 추가 인센티브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응급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해 이송·전원체계도 정비하기로 했는데, 오는 9월부터 이송 단계에서 환자 중증도에 적합한 병원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이송 단계의 중증도 분류기준를 전면 시행합니다.
경증환자 정부 경증환자 지역 응급의료센터 외래진료 본인부담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경증환자,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가면 본인부담 늘린다'(종합)(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정부가 중증·응급환자의 진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장 의료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경증 환자를 지역 병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정부 “경증환자,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가면 본인부담 60%↑”정부가 중증·응급환자의 진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경증 환자를 지역 병의원으로 분산하는 대책을 마련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많은 국민들께서 더 위급하고 위중한 환자를 위해 대형병원 이용을 자제하고 계시지만, 응급실을 이용하는 경증과 비응급 환자는 약 4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든 외국인근로자 산업안전 교육·격벽 등 안전시설 설치 1억 지원...화성 아리셀 산안법 65건 적발외국인근로자·소규모사업장 안전대책 재외동포 등도 산업안전 교육 의무화...법 개정 추진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10년만에 19% 인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연금만 믿다가 노후 파탄난다”…아파트 판 돈 연금계좌 넣으면 파격혜택 준다는데정부, 고령층 ‘부동산 연금화’ 본격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 죽게 생겼는데 대책없이 뒷짐만 지고 있냐”…티몬·위메프 사태에 정부 때린 민주당“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 우려돼 정부, 신속·기민한 대책 마련해야 온라인플랫폼법 제·개정 조속히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전공의당 환자수 설정…경증환자 상급병원 가면 비용↑'(종합2보)(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김잔디 기자=반년째 이어지는 전공의 공백에도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인력 중심 구조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