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이렇게 쓸 만하면 되지’ 이런 마음으로 가성비 브랜드 이런 것들을 소비하는 현상이 나타나고요. 이런 것도 불황기 소비라고 봐야 할까요? ▶전미영〉 저는 불황기 소비에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공유 경제적 특성 이런 것들이 결합해서 나타나는 요즘 세대의 특성이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내가 10만원을 썼지만 15만원 정도의 혜택을 가져갔어’ 이렇게 느끼기 때문에 일종의 가성비 소비, 불황기 소비의 모습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직장인 점심값 1만원 시대…소비 줄이려 도시락 싼다 고물가 에 불황이 이어지면서 이런 기사 제목, 지겹도록 보셨을 겁니다. ‘ 짠테크 ’ 열풍에 한 푼도 쓰지 않는 ‘무지출 챌린지’가 등장했고, 항목별로 쓸 돈을 분류해 넣어 다니는 ‘현금 바인더’도 인기입니다. 사라지는 것 같았던 지하철역 ‘1000원 빵집’도 다시 늘고 있다죠.
이런 불황 속에서도 한쪽에선 치열한 오픈런, 끝없는 웨이팅, 피 튀기는 티케팅이 펼쳐집니다.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 하는 전략은 무엇일까요? 남다른 호황 뒤엔 어떤 소비 심리와 패턴이 숨어 있을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15년 넘게 우리나라 산업 트렌드를 조망해온 책 『트렌드 코리아』의 공저자인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전미영 연구위원과 파헤쳐봤습니다. 2024년 불황의 터널을 지나는 대한민국,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는 또 다른 트렌드가 보인다고 합니다. 또 저출생·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목숨 걸고 ‘이것’을 하고 있다는데요.
전 위원과 함께 ①불황기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보이는 심리적 현상 세 가지를 짚어보고, ②돈의 가치를 높이려는 소비 행태와 이런 특성을 공략한 실제 사례를 살펴봤습니다. 또 ③인구구조가 달라지면서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도 분석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3. 🏨“최저가 아닙니다” 이런 호텔 예약 플랫폼이 통하는 이유 🎤답변 : 전미영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이지상〉 벌써 4월이지만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2024년입니다. 본격적인 엔데믹 경제가 시작되면서 앞날은 더 불투명해졌는데요. 지금은 짧은 유행을 섣불리 예측하는 게 아니라 사회 근간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살펴봐야 하는 시기가 아닐까 합니다.
▷최하은〉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15년 넘게 대한민국 산업 트렌드를 조망하는 책이죠. 『트렌드 코리아』 공저자 전미영 박사님 모셔서 대한민국 소비산업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소비트렌드 짠테크 불황 고물가 실속소비 테무깡 중고거래 가성비 소비 공유경제 트렌드코리아 전미영 텐포켓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싸구려 빵의 대변신…‘빵집 규제’에 아침마다 편의점이 붐빈다는데편의점 빵, 프랜차이즈 아성 위협 젊은층서 ‘가성비’로 인기 돌풍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진스·제니·지드래곤 손잡더니…백화점 명품매출 3배 급증한 이유백화점 3사 외국인 구입액 작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나 K팝 아이돌 앰배서더 선정 신제품 한국에 먼저 출시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자가 전한 상처가 보석이 되고, 오늘을 사는 힘이 된 이유결핍은 강한 정신력 키워상처가 인생을 빛나게 하는 보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이볼에 빠진 MZ들은 이곳으로 간다…위스키 인기에 수요 공략 나선 편의점그동안 ‘비싼 가격’에 ‘아재’ 술로만 여겨졌던 위스키가 하이볼을 즐기는 MZ세대의 관심을 받자, 편의점 업계가 ‘가성비’를 앞세워 위스키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편의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성비' 성심당, 파바 영업이익 제쳤다작년 영업익 315억원 달성매출도 1년새 52%나 급증'딸기시루' 등 이색 빵 승부대전에만 매장 운영해 효율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국인 명품쇼핑 성지로 뜬 韓백화점백화점 3사 외국인 구입액작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나K팝 아이돌 앰배서더 선정신제품 한국에 먼저 출시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