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잊은 민족한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이 있다. 내가 그 시절에 태어나지 않았다고 해서 그 역사를 방관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국민으로서의 도리가 아닌 것 같다.”
전우원 “전 세계가 역사 왜 배우겠나” 반박 전두환씨의 손자 전우원씨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 민주화 운동 추모식에 참석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민주화 운동 피해자 및 유족에게 사죄하고 나선 전두환씨의 손자 전우원씨가 “그때 태어나지도 않았으면서”라는 장세동 전 공수특전사령부 작전참모의 말에 “그 시절에 태어나지 않았다고 해서 그 역사를 방관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국민으로서의 도리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전씨는 18일 아침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인터뷰에서 사회자가 장씨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전두환씨의 최측근이었던 장씨는 지난 9일 와 한 통화에서 “전우원씨가 5·18에 대해 사과했다. 지금이라도 5·18과 관련해 사과할 용의가 있느냐’는 물음에 “내가 필요하다면 열번이고 백번이고 천번이고 못 할 이유도 없다. 그런데 손주는 그때는 나지도 않았다.
굳이 그때 태어나지 않았어도 충분히 배우고 알 수 있는 내용들이 많다”며 “역사를 잊은 민족한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이 있다. 내가 그 시절에 태어나지 않았다고 해서 그 역사를 방관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국민으로서의 도리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장씨에 앞서 전두환씨의 부인이자 전씨의 친할머니인 이순자씨 역시 지난달 손자에게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에서 “5·18 때 태어나지도 않은 너는 주제넘게 아무 데나 나서지 말고 자신에게 떨어진 일이나 잘 처리해라”고 한 바 있다. 5월9일 방영된 ‘피디수첩’ 제1373회 ‘전두환의 숨겨진 재산, 전우원 모자의 고백’ 편에 나온 이순자씨의 카카오톡 내용. 방송 갈무리 한편, 전씨는 지난 3월에 이어 17일 다시 광주를 찾아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제43주년 5·18 민주화 운동 추모식에 참석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때는 자리에서 일어나 따라 부르기도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할아비는 안 오더니'…전두환 손자 품어준 5·18 유족들 | 연합뉴스(광주=연합뉴스) 정다움 기자='43년 동안 학살자인 제 할아비는 한 번도 안 오더니, 손자는 또 와서 고개 숙이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연히 만난 전우원·이준석? 광주서 5·18 주먹밥 만든 두 사람 [Y녹취록]전우원, 5·18 묘역 참배…전두환 일가 중 처음 / 이순자, '할아버지 얼굴에 먹칠을 한 손자' 질책 / 광주서 5·18 주먹밥 만든 전우원·이준석 / 오월어머니들과 '오월항쟁' 금남로서 주먹밥 빚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광주 5·18 묘지 참배한 문...'전두환 손자, 못 만날 이유 없다' | 중앙일보'특별한 계획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기가 된다면...'\r광주 참배 문재인 전우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18 전야제 현장서 ‘오월 주먹밥’ 함께 만든 전우원·이준석전두환 손자 전우원씨와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주먹밥을 함께 만들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기현 '5·18 헌법수록, 잘 실천해나갈 것'‥원포인트 개헌엔 답변 안 해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는 것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자 우리 당이 가진 입장'이라며 '잘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대표는 오늘 오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