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레저용지 매립에 농지관리기금 지출은 위법”환경단체 고발…검찰 “기금운용 주체 처벌 법 없어”
환경단체 고발…검찰 “기금운용 주체 처벌 법 없어” 지난 8일 오전 대원들이 철수를 시작해 적막감이 흐르는 전라북도 부안군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야영지.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파행 사태의 배경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대회장 조성과 관련해 3년 전 환경단체들이 ‘현행법을 위반해 갯벌을 매립한다’며 한국농어촌공사와 새만금위원회를 고발했으나 검찰이 무혐의 처분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2017년 12월6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공동위원장으로 있던 새만금위원회는 매립 사업자가 없어 방치돼 있던 전북 부안군 하서면의 해창갯벌을 잼버리 대회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새만금기본계획상 관광레저용지로 되어 있던 이곳에 한국농어촌공사가 운용하는 농지관리기금을 끌어와 매립 비용에 충당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농지관리기금 1845억원을 투입해 해창갯벌을 매립했다.
이 전 총리 등에 대해선 “직권을 남용해 농어촌공사가 위법행위를 하도록 교사하거나 공모해 관련 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잼버리 국제대회를 치르기 위해 매립 공사를 하기 전인 2020년 8월 해창갯벌. 이만수 사진작가 제공 하지만 검찰은 이 사건을 2021년 4월12일 ‘혐의 없음’으로 종결했다. 농어촌공사에 대해선 ‘관련 법이 기금을 지원받는 쪽의 위법한 행위는 처벌하는 조항이 있지만 운용 주체의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이 없어 범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무혐의 처분했다. 이 전 총리 등의 직권남용 혐의에 대해서도 ‘사업 진행 경과를 살펴보면 고발인 주장만으로는 직권남용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문제는 이번 잼버리 파행 사태 뒤 정부가 대회 유치 과정부터 부지 조성, 행사 준비 과정 전반에 대해 감사원 감사를 진행한다고 밝힌 만큼, 감사 과정에서 부지 조성에 농지관리기금을 사용한 부분이 다시 쟁점이 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잼버리 부지' 농지로 바꾼 날, 새만금개발청 '골프장 건설'문재인 정부가 잼버리 부지를 농업용지로 변경하기로 결정하면서, 같은날 농업용지에 들어올 수 없는 골프장 건설을 발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송하진 전 지사는 '잼버리 부지의 신속한 매립을 위해 관계부처가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는데, 김영록 전 장관은 '농림부에서 매립을 담당하고, 대회 후 단기간은 가축사료단지 등으로 사용할 것'이라며 수용했다. 안병길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잼버리 부지 매립 예산이 필요할 때에는 농업 용지로 용도변경해 놓고, SOC예산이 필요하자 관광·레저용지로 가정해 사업을 진행하는 모순된 행동을 보였다'며 '감사원 감사에서 지난 정부 주요인사의 의사 결정에 대해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암 잔디는? 대원 밥값은?…300억 잼버리 청구서 날아온다잼버리 정산 업무의 주체를 놓고도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리까지 청소반장 나섰는데...'화장실 준비 굿' 포상[앵커]전라북도가 새만금 잼버리 대회를 반년 가량 앞두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