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던 보양식 '우족' 굴욕…'2.8만원에 사서 7000원에 판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잘나가던 보양식 '우족' 굴욕…'2.8만원에 사서 7000원에 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5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3%

경기도 고양에서 8년째 정육점을 운영 중인 김모(44)씨는 '처음 가게 문을 열 당시만 해도 한 달에 2마리 분(우족 8개)씩 꾸준히 팔렸는데, 최근에는 한 달 동안 한 번도 우족을 찾는 문의가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사람들이 우족을 사서 끓여 먹는 행위 자체를 안 하다 보니 4년 전부터는 직접 우족을 끓여서 팔고 있다. 우족을 이용한 요리를 종종 해 먹는다는 이효설(43)씨도 '하루 종일 뼈를 고아야 하는데 집안이 너무 더워져서 3~4일로 나눠서 요리를 한다'며 '워낙 국밥류를 좋아해서 가끔 해먹는 거지, 요즘 주변에 우족 요리를 직접 하는 집은 못 봤다'고 말했다.

마장동 육가공업체 창고에 남아 있는 우족. 이곳에서 11년간 육가공업체를 운영해온 신모씨는"우족 수요 자체가 없다보니 창고에 쌓아두다 못해 가공비를 들여서 기부를 하거나 원가의 30%만 받고 넘기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사진 독자.지난 11일 낮, 11년간 서울 마장동에서 육가공 업체를 운영해온 신모씨는 쌓여있는 우족을 바라보며 한숨을 쉬었다. 우족은 소 도축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소의 발부분이다. 살점이 붙어 있어 사골보다 가격이 더 높지만, 최근에는 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다. 신씨는 “한 달에 200두를 취급하고 있는데, 2만 8000원에 우족을 공급받아서 7000원에 넘기고 있으니 두 당 2만원가량 손해다. 이번 달에만 400만원 정도 손해가 났다”며 “아무리 가격을 낮춰도 나가지 않을 땐 kg당 3000원씩 분쇄기 이용료를 내고 가공한 뒤 푸드뱅크에 기부한다”고 말했다.

한때 보양식으로 각광받던 우족·사골이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됐다. 탕·국 중심의 식문화가 바뀌면서 수요가 급감한 탓이다. 경기도 고양에서 8년째 정육점을 운영 중인 김모씨는 “처음 가게 문을 열 당시만 해도 한 달에 2마리 분씩 꾸준히 팔렸는데, 최근에는 한 달 동안 한 번도 우족을 찾는 문의가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사람들이 우족을 사서 끓여 먹는 행위 자체를 안 하다 보니 4년 전부터는 직접 우족을 끓여서 팔고 있다. 사라진 우족 수요를 살리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설명했다. 우족 가격도 곤두박질치고 있다. 지난 15년간 우족의 소매가는 kg당 3만원대에서 1만 5000원대로 떨어졌다. 도매가 보다 소매가가 더 저렴한 기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살점이 붙어있지 않아 우족보다 싸게 거래되는 사골의 경우 15년 전 가격이 kg당 1만원이었으나 지금은 1000원으로 10분의 1 수준으로 폭락했다.우족 수요가 급감한 건 식습관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진소연 숙명여대 문화예술대학원 교수는 “예전에는 우족이 몸조리용 보양식으로 귀한 음식 대접을 받았지만, 현대 한국 가정에서는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살코기가 훨씬 선호된다”며 “우족을 끓이려면 솥에 넣고 반나절 이상 조리해야 하는데 요즘 늘어난 1인 가구에는‘가성비’가 떨어지는 요리”라고 말했다.

우족을 둘러 육가공업자와 축산물 공판장에서 고기를 납품하는 중매인 사이의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육가공업자들은 중매인들이 소매가 보다 비싼 가격에 떠넘기기 한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도매가 2만8000원에는 가공비과 운반비이 포함돼있다. 마장축산물시장 한우협동조합 관계자는 “중매인 측에 ‘차라리 우족을 현장 폐기해달라’고까지 했지만, 이에 응하지 않는 건 물론이고 몇 년째 조작비와 운송료를 인상하고 있다”며 “팔지도 못하는 우족을 떠넘기고 비싼 조작비와 운송료까지 챙기는 건 갑질”이라고 주장했다. 조합은 공정거래위원회에 5대 농협축산물 공판장에서 활동하는 중매인들이 불공정거래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고발할 예정이다.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생후 100일 앞둔 쌍둥이 아기 판다 ‘루이바오’ ‘후이바오’ “인사드려요~!”생후 100일 앞둔 쌍둥이 아기 판다 ‘루이바오’ ‘후이바오’ “인사드려요~!”지난 7월 7일에 태어난 쌍둥이 판다 ‘루이바오’와 ‘후이바오’가 12일 경기 용인시 에버랜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푸바오 동생’ 쌍둥이 판다 이름은 루이바오와 후이바오‘푸바오 동생’ 쌍둥이 판다 이름은 루이바오와 후이바오국내 첫 쌍둥이 판다의 이름이 ‘루이바오’와 ‘후이바오’로 결정됐다. 각각 슬기로운 보물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루이바오·후이바오'...국내 첫 쌍둥이 판다 이름 확정'루이바오·후이바오'...국내 첫 쌍둥이 판다 이름 확정루이바오와 후이바오. 〈사진=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슬기로운 보물 '루이바오(睿寶)' 빛나는 보물 '후이바오(輝寶)'. 12일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이 운영하는 에버랜드가 지난 7월 태어난 국내 첫 쌍둥이 아기 판다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 자원전쟁인데…한국은 광물사업 26개 손절, 3개 더 판다세계 자원전쟁인데…한국은 광물사업 26개 손절, 3개 더 판다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자원 부국인 중국도 2013~2018년 해외 광산 투자·인수합병(M&A)에 862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추가 자원 확보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각국의 광물 쟁탈전이 치열한 만큼 전문가들은 정부의 신규 투자 제한을 풀고 민간 기업에 대한 지원을 전방위로 늘려야 자원 자립화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한다. 효율적인 자원개발로 중장기적인 자립 비율을 높일 수밖에 없다'면서 '리스크가 큰 자원 탐사부터 개발 초기까진 공공 부문이 주로 맡고, 개발·생산 등은 민간 기업 중심으로 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70만명이 지어준 쌍둥이 판다 이름은 '루이바오' '후이바오'70만명이 지어준 쌍둥이 판다 이름은 '루이바오' '후이바오'[앵커]지난 7월 국내 처음 쌍둥이 판다가 태어났죠. 사흘 뒤면 100일을 맞는다고 합니다. 그새 훌쩍 큰 쌍둥이, 뜻 좋은 이름도 공개됐습니다.이승환 기자입니다.[기자]판다들이 사육사 품에 안겨 버둥 거립니다.많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21:3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