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학교 살리기…'학생 수 늘리기에만 집중해선 안돼' 충북인뉴스 충북인뉴스 최현주
학령인구 감소시대에 작은학교를 살리기 위해서는 작은학교들간의 공동교육 및 원격합동교육이 필요하고, 교사들의 행정업무를 대신 해줄 수 있는 학교지원센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각 교육지원청에 학교지원센터를 마련, 작은학교 행정업무를 통합운영하고 특히 작은학교 근무를 희망하는 교원을 팀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외에도 공동학구제를 시행하고, 통학버스 체계구축 등 지역사회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이날 권순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학령인구 감소시대 소규모학교 지원정책 방향과 과제'라는 강연을 통해"기존 작은학교 살리기는 학생 수 증가 사업에 몰두했으나 학력인구 감소가 기정사실화 되는 시점에서 소규모학교 학생 수 증가는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며 네 가지 방안을 대안으로 제안했다.
권 연구위원의 제안은 ▲교육과정 ▲교직원 인사 ▲행정업무 ▲적정규모 등으로 요약된다. 우선 작은학교 교육과정에 대해 권 연구위원은 작은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또는 원격합동교육과정 운영을 제안했다. 교직원 인사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사보상체계 및 인센티브를 적극 고려하고, 특히 학교장과 행정실장을 포함해 작은학교 근무 희망 교원을 팀 단위로 구성해 팀 전체를 해당학교에 발령 내는 방식을 제시했다. 이는 농·산촌 특색학교 사업과 연계될 수 있다. 권순형 연구위원은 작은학교 교직원 수가 적고 교직원 1인당 행정업무는 중·대규모학교보다 과다하므로 작은학교의 강점을 살리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면서,"행정업무를 학교지원센터가 위탁받아 진행하거나 작은학교들끼리 행정업무 분담 처리, 학교외부 유관기관과 분담처리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이외에도 공동학구제 시행과 함께 통학버스 체계 구축으로 실질적인 규모 적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권 연구위원에 따르면 2025년 충북지역 초등학교는 267개교 중 고위험군 학교는 113개교, 위험군 학교는 38개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북인뉴스에도 실렸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기도교육청, 초등 저학년들의 학교 생활 위한 학습 지원 사업 운영경기교육청, 초등 저학년 학교 생활 위한 학습 지원 사업 운영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시 4·2·2·3·5로 붙었습니다' 의대 합격이 불러온 '공정' 논란 | 중앙일보A씨가 합격한 전형은 '지역인재전형(저소득)'입니다.\r의대 정시 수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2년 뒤 고령사회 진입…OECD가 본 한반도 암울한 미래 | 중앙일보2060년이면 인구 절반 가까이가 노인인 말그대로 '노인 국가'가 됩니다.\r한국 고령사회 노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0억 뇌물' 곽상도 1심 무죄…대장동 사건 첫 법원 판단곽상도 대장동 무죄 대장동 개발업자들의 청탁을 들어주고 뇌물을 챙겼다는 혐의를 받는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