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임신중지·고환 제거···‘강제불임’ 피해자, 배상금 지급 첫 확정

일본 정부가 임신중지·고환 제거···‘강제불임’ 피해자 뉴스

일본 정부가 임신중지·고환 제거···‘강제불임’ 피해자, 배상금 지급 첫 확정
배상금 지급 첫 확정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5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51%

일본 정부에 의한 ‘강제불임’ 수술 피해자인 니시 스미코씨(77)가 약 1억5000만원 상당 배상을 받게 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 언론이 1일 보도했다. 강제불임이란 ...

옛 우생보호법 강제불임 수술 피해자 니시 스미코씨의 모습. 일본 우생수술 피해자와 함께하는 미야기 모임 엑스 갈무리.강제불임이란 장애인이 자녀를 낳지 못하도록 일본 정부가 강제한 임신중지, 생식기 제거 수술 등을 뜻한다. 일본 국회에 따르면 강제불임 수술 피해자는 1만6000여명에 달해, 현지 언론 등은 “전후 최대의 인권 침해”로 평가하고 있다.재판상 화해란 당사자 간 상호 양보를 통해 소송을 종료하는 행위다. 니시씨는 강제불임 사건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 가운데 첫 화해 사례로, 아사히신문은 이를 계기로 “각지에서 진행 중인 비슷한 소송에서도 화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앞서 대법원 격인 일본 최고재판소는 지난달 3일 ‘옛 우생보호법’에 따라 정부가 불임수술을 강요한 것은 헌법 위반이라며 피해자 상대 국가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정부에 의해 불임수술을 강제당한 장애인 39명이 국가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결과다.

옛 우생보호법은 나치 독일의 ‘단종법’을 따라 1948년 만들어졌다. 당시 유행하던 ‘우생학’에 근거, 유전병과 장애를 지닌 자손 출생을 막고 국민 정신·신체를 ‘개량’한다는 취지였다. 당시 일본 국회는 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일본 정부는 이 법에 따라 유전성 질환자, 지적장애인 등을 상대로 임신중지·불임 수술을 강요했다. 여성의 자궁, 남성의 고환을 적출하는 사례도 있었다. 법 시행 초기 정부가 부득이한 경우 수술 대상자를 속여도 된다고 시달한 사실도 밝혀졌다. 일본 국회가 지난해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법에 따라 불임수술을 받은 2만4993명 중 강제로 수술을 받은 경우가 1만6475명으로 3분의 2에 달한다. 이 중 10대 이하 청소년이 2714건이었으며, 9세 어린이도 강제 수술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AFP에 따르면 남성 피해자인 기타 사부로씨는 13세 때 정관수술을 당했다고 증언했다. 어린 시절 뇌성마비로 장애를 입은 니시씨도 그 나이 무렵 자궁을 적출당했다. 법이 개정된 건 입법 반세기 이후인 1996년에 이르러서였다.수많은 피해자에 대한 국가 차원의 사과와 배상 논의는 뒤늦게 시작됐다. 2019년 일본 국회가 강제불임 수술 피해자에게 1인당 320만엔을 지급하는 피해자 구제법을 제정했지만, 피해자들은 국가가 법적 책임을 명시하지 않았다며 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금액도 피해 회복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 지난달 17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피해자들과 만나 공개 사과하고 판결에 따른 신속한 보상을 약속했다. 피해자 보상을 위한 초당적 의원연맹도 꾸려졌다. 원고 측 변호인단은 이날 연맹 회의에 참석해 피해자 보상금 1500만엔, 배우자 보상금 500만엔을 요구했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배상금 지급 첫 확정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파월 '인플레 2% 안 기다릴 수도'… 美 9월 인하론 힘실어파월 '인플레 2% 안 기다릴 수도'… 美 9월 인하론 힘실어'금리인하 장애물 제거 확신'S&P500지수 5600 첫 돌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제동원’ 빠진 日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시민모임 “정부, 알았다면 매국 행위”‘강제동원’ 빠진 日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시민모임 “정부, 알았다면 매국 행위”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이 이뤄졌던 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과 관련해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단체는 “일본의 역사 왜곡을 정부가 사전에 알았다면 제2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옵티칼 ‘고용승계’ 해결 위해 일본 찾은 민주당·진보당 의원들한국 옵티칼 ‘고용승계’ 해결 위해 일본 찾은 민주당·진보당 의원들벌써 200일 넘긴 고공농성, “니토덴코가 책임지고 고용승계하도록 일본 정부가 나서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리셀 참사' 긴급생계비 신청 완료... 김동연 '구상권 청구''아리셀 참사' 긴급생계비 신청 완료... 김동연 '구상권 청구'사회적 참사 유가족·피해자 대상 지원 전국 지자체 첫 사례... 피해자 8명 전원 긴급생계비 수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원 “일본제철,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에 배상해야” 또 승소법원 “일본제철,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에 배상해야” 또 승소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에게 일본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또 나왔다. 2018년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일본 기업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 언론 “한국 정부, 사도광산에 조선인 위령시설 등 요구”일 언론 “한국 정부, 사도광산에 조선인 위령시설 등 요구”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는 사도 광산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 피해자들을 위한 위령시설 설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는 일본 언론보도가 나왔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30일 일본 쪽 관계자 말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13: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