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강제노동’ 등 강제성이 빠진 것은 일본의 ‘역사부정론’ 때문이다.” 일본 내 조선인 강제동원 전문가 다케우치 야스토(67) 역사 연구가는 29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전시에서 조선인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
일본 내 조선인 강제동원 전문가 다케우치 야스토 역사 연구가는 29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전시에서 조선인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 등을 알리면서도 ‘강제동원’, ‘강제노동’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에서 역사부정론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 영향을 줬다”며 “2010년대 들어 일본 정치에선 한반도의 식민지배가 합법이고 그 바탕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동원도 문제가 없다는 인식이 강해졌다”고 강조했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30년 넘게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를 하고 있으며 ‘조사 조선인 강제노동’ 등의 책을 썼다. 지난해 한국 민족문제연구소와 일본 시민단체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가 공동으로 진행한 ‘사도광산 조선인 강제동원’ 조사에도 참여했다.
그는 “아베 신조 정권 때부터 본격화된 ‘역사부정론’이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정부에서 계속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본 정부는 2018년 한국 대법원에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이 나왔지만 무시로 일관하고, 강제성을 없애기 위해 ‘징용공’ 대신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표현을 바꾸기까지 했다. 2021년 4월엔 각의에서 ‘강제노동’이 부적절하다고 결정해 이후 모든 일본 교과서에서 ‘강제’가 사라졌다. 지난 1월엔 우익단체의 문제 제기로 법적 소송까지 가면서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가 20년 만에 철거됐다.다케우치 연구가는 한국 정부가 강제성이 빠진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해 준 것에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북한·중국 문제 때문에 윤석열 정부도 미·일이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을 향해 가고 있다”며 “이번 사도광산이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과 관련한 제3자 변제가 그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다.
지난 28일부터 사도섬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일부 공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전시도 ’강제성’을 분명히 하는 것 이외에 추가적 조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사도광산 조선인 피해자들의 증언이 영상이나 구술로 남아 있다. 이들의 직접적인 목소리도 전시에 넣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시 장소에 대해서도 “향토박물관뿐만 아니라 관광객이 가장 많이 가는 ‘키라리움 사도’와 실제 갱도에 들어갈 수 있는 ‘관광 코스’ 안내판에 조선인 강제동원의 실태와 규모 등 전체적인 개요 정도는 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다케우치 연구가는 니가타현과 사도광산 관리업체인 골든사도가 꼭꼭 숨기고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명부도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니가타현립 문서관에 있는 사도광업소 ‘반도 노무자 명부’를 반드시 공개해야 한다. 여기엔 강제동원 조선인 이름, 주소, 이동상태 등이 적혀 있다”며 “조선인 노동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1차 문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한국 대통령 잘 만난 일본[김종성의 히,스토리] 일본 언론 ''강제노동' 문구 빼는데 양국 합의', 외교부 '사실무근'이라 했지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강제노동 빠졌다' 韓여론에도 '사도광산 세계유산 기뻐'(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일본 정부가 29일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와 관련,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 표현이 빠졌다는 한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지원 “수미 테리 사건, 또 문 정부 탓…윤 정권에 도움 안돼”대통령실이 18일 미국 검찰이 수미 테리 미국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을 기소하는 과정에서 국가정보원 요원의 활동이 노출된 것을 두고 “문재인 정권 때 일”이라고 한 것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과 박선원 의원이 나란히 “또 문재인 정부 탓이냐”며 반박에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대한민국 헌법·대법 판결 저버리고 일본 편든 윤 정부윤석열 정부가 일본이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이뤄졌음을 사실상 부정하는데도 이 시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찬성한 것은 그냥 넘길 수 없는 중대한 ‘외교 참사’다. 이 결정으로 윤 정부는 일본의 역사왜곡에 가담하고 이를 국제적으로 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군함도’ 뒤통수 친 일본…윤 정부, 사도광산 세계유산 잠정합의한국과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사도광산 관련 시설에 ‘전체 역사’를 반영하기로 약속했지만, ‘강제동원’을 명시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외교부 당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론 입틀막' 논란 이진숙, 이태원 참사 기획설엔 '나중에 답변'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8일 첫 출근, "방통위 2인 체제는 민주당 탓"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