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를 놓고 한국 정부가 한-일 기업의 기부를 받아 대신 갚는 방안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대통령실, 일본 호응 없으면 원고·국민 이해 못해”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해결 방안을 두고 피해자 대리인단 및 지원단체가 지난달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 관계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를 놓고 한국 정부가 한-일 기업의 기부를 받아 대신 갚는 방안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한국 기업의 기부만으로 보상을 시작할 예정이던 정부 내에서 기류가 바뀐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은 11일 한-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가 일제강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일-한 양쪽 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모아 배상 금액을 대신 갚는 방식을 ‘해결책’으로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기부에 참여하는 일본 기업이 일본제철, 미쓰비시중공업 등 피고 기업인지는 특정하지 않았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사과와 배상 참여 등 ‘성의 있는 호응’이 없는 상태에서 한국 기업의 돈 만으로 피해자에게 위로금을 일방적으로 지급하진 않겠다는 쪽으로 결론을 모아가는 중이라는 지적이다. 다만 신문 지면에는 “한국도 일본 기업이 기부에 동참한다는 전망이나 일본 쪽으로부터 과거에 대한 어떠한 ‘사과’와 ‘반성’의 취지가 담긴 호응이 없으면 ‘원고나 국민의 이해를 얻을 수 없다’는 생각”이라고 표현이 조금 달라졌다. 외교부는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해법을 논의하는 공개토론회를 예정하고 있다. 이 신문은 “한국 정부는 토론회 이후 외교당국 협의회에서 이 구조를 ‘해결책’으로 일본 쪽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일본 쪽에서 향후 전향적인 호응이 있을 경우 ‘해결책’으로 공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 언론 '한국, 강제동원 해법 '한일기업 기부로 한국 재단 대납' 최종 검토'일 언론 '한국, 강제동원 해법 '한일기업 기부로 한국 재단 대납' 최종 검토' 강제징용 아사히신문 김도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사히 '한국, 강제동원 해법 '한일기업 기부로 한국 재단 대납' 최종 검토'한국 정부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배상 문제의 해결책으로 한국 재단이 한국과 일본 기업에게 기부 받아 일본의 피고 기업 대신 지급하는 방안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고 아사히가 보도했습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MG새마을금고 씨름단 창단…'씨름 발전 마중물 될 것'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보인 기자=약 7년 만에 탄생한 기업 씨름팀 MG새마을금고 씨름단이 10일 공식적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