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21일 가결된 것은 30명 넘는 당내 이탈표가 발생했기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21일 가결된 것은 30명 넘는 당내 이탈표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당이 이제는 ‘방탄’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이 대표가 전날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을 파기하고 부결을 호소한 것도 역효과만 냈을 가능성 있다.
찬성표를 던진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2월27일 1차 체포동의안 표결 때보다 늘었다. 1차 체포동의안 때보다 이번에 찬성표가 11표 늘었다. 기권과 무효표는 1차 체포동의안 때보다 10표 줄었다. 1차 체포동의안 때 기권과 무효를 찍었던 민주당 의원 일부가 찬성으로 돌아섰을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은 가결을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소영 원내대변인은 이날 표결 직후 브리핑에서 “예상하지 못한 결과라서 많이 놀랍고 충격적”이라며 “지도부가 의원들에게 여러 차례 부결을 호소했는데 다른 결과가 나와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하지만 이 대표가 표결을 하루 앞둔 전날 부결을 호소한 것이 표심에 악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한 초선 의원은 “당의 지도자이면 대의명분이 있고 당을 생각해야 하는데, 그런 입장문이 나오리라고 대부분의 의원들이 생각 못했다”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체포동의안 부결 의사를 밝힌 한 의원도 “이 대표가 부결을 호소하는 메시지는 안 내는 게 나았다”고 평가했다. 이 대표의 불체포특권 약속 파기에 실망하거나 방탄 수렁에 빠지지 않겠다는 의원들이 늘어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