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이트부터 뉴라이트까지 이승만 옹호 세력은 민족분단 책임, 한국전쟁 당시 학살 문제, 친일청산 방해 등 이승만에 대한 비판에 맞서 역사적 논리의 회전목마를 작동시킨다. 특히 4·19혁명을 폄하하는 것은 가장 큰 부담이다.
민족분단에 책임이 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북한에 공산정권이 들어섰기 때문'이라는 등의 논리를 내세운다. 한국전쟁 전후에 민간인 학살을 많이 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피학살자들이 공산 빨갱이와 연관됐다'는 등으로 받아친다.
전두환 시절의 1980년 헌법을 제외한 1963년 이후의 역대 헌법 전문에 4·19가 명기됐다. 이 점 때문에도 4·19를 섣불리 비판하기 힘들지만, 꼭 이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이승만 옹호 세력은 4·19를 촉발시킨 3·15 부정선거는 물론이고 당시의 실정과 폭정에 대해서도 이승만은 전혀 몰랐다는 식의 대응 논리를 내놓고 있다. 그해 4월 28일 일가족과 함께 목숨을 끊은 이기붕에게 모든 것을 떠넘긴다. 이 세력은 이승만의 지도력과 판단력을 높이 평가하다가도 이런 대목에 와서는 이승만을 주변 사람들에게 휘둘리는 무능한 인물로 만들어버리곤 한다.
"11시 50분경 동국대생들이 조선총독부 청사였던 중앙청과 조선총독관저였고 당시에는 이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 쪽으로 향하면서 시위 양상은 바뀌었다. 다른 대학 학생들과 동성고생들이 그 뒤를 따랐다. 이때부터 '이승만 물러가라'는 구호가 나왔다. 실업자·구두닦이·신문팔이 등도 데모에 합세했다. 오후 1시 40분경 경무대 앞에서 경찰이 일제히 발사해 21명이 사망하고 172명이 부상당했다. 2시 50분경에는 중앙청 부근 무기고에서 경찰의 무차별 발사로 8명이 숨졌다." 매카너기는"그렇지 않습니다"라며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승만은"대사, 민심은 나한테 있어요"라며"사태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되기 전에 폭도들을 통제할 단호한 조치를 취하기를 잘했어요"라며 학생과 시민들에 대한 발포를 합리화했다. 그런 뒤 이렇게 말했다.이승만은 국회 본회의 같은 데서"다 함께 기도하자"고 제안할 정도로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비쳤지만,"너는 살인하지 말라"라는 계명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이는 한국전쟁 전후의 수많은 민간인 학살뿐 아니라 측근 살상 방식에서도 나타난다.
정치 이승만 4·19혁명 친일 역사적 진실 뉴라이트 올드라이트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정부가 일선부대에 배포한 충격의 간행물[김종성의 히,스토리] 이승만을 위한 변명에 돈을 쏟아붓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종석을 위한 변명 [한겨레 프리즘]이정애 | 정치팀장 “이러다 정말 전쟁 나는 거 아냐?” 중고등학교 친구 케이에게서 문자가 왔다. 5년여 만이다. 케이가 이런 내용의 문자를 보내온 것은. 케이는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하루가 멀다 하고 문자를 보냈다. 북한이 단거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리하라의 사이언스 인사이드]남을 위한 것이 곧 나를 위한 일이다퀴즈 하나, 인간의 몸에서 빨간색이고 통통하며 만지면 뜨겁고 아픈 데다 마음먹은 대로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 정답은 염증(炎症, inflammation)이다. 충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상조사·안전사회정책’ 투 트랙으로···이태원참사 특조위 구성 본격화10·29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소위원회 구성을 의결하는 등 본격적인 조사 활동을 위한 행정조직 설치와 운영규칙 제정에 나섰다. 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일종 '나이 들면 잠도 없어져…5060 경계병으로 고용 효과, 부족한 병력 자원 보충'병역 자원 감소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5060 경계병'을 제안한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장년층도 반길 제도라고 주장했습니다.--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강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블랙리스트’ 재조명스웨덴 한림원은 10일 한강 작가를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발표하면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섰다”는 점을 첫머리에서 밝혔다. 1980년 광주민중항쟁을 다룬 소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