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권지현 기자=정치권을 중심으로 의대 정원 증원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이 임박했으나 의사 사회...
수시 원서접수 성서호 권지현 기자=정치권을 중심으로 의대 정원 증원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이 임박했으나 의사 사회에서는 여전히 2025학년도 증원부터 백지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의협 관계자는"2025년과 2026년 의대 증원 계획을 백지화하고, 2027년 정원부터 재논의해야 한다"며"정말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이 합당하다면 2027년이나 그 이후부터 증원을 논의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정치권에서도 계속해서 의료계가 조건 없이 대승적으로 협의체에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다른 지방에서 수련한 전공의 B씨는"정부와 의료계가 합의해야 한다는 소리는 한 번도 들어보지 못했다"며"사직한 전공의들은 병원 취직이 아니더라도 따로 하는 경제활동이 거의 정착된 상태라 정부가 생각하는 것만큼 급박하게 반응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청한 한 병원장은"대화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앞으로 의사들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이미 여러 정책이 진행 중인데, 증원에만 매몰돼 있느라 다른 것들은 다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의료계 의견내야 의대정원 재논의…2026년 증원유예 확정아냐”의료계에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 촉구 증원 백지화 요구엔 단호하게 선긋기 한 총리 “토론 통해 합리적결론 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시전형 시작인데…의협 “2025학년도 원점 돌리고, 2027년 정원부터 논의 가능”정부와 여당이 의료공백 해결을 위해 ‘여·야·의·정(여당·야당·의료계·정부)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지만, 핵심 당사자인 의료계는 여전히 ‘2025·2026학년도 증원 원점 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與, 의정갈등 어떻게 푸나…친윤·친한 불협화음만 되레 노출(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정부와 의료계 간 대치가 약 7개월 동안 이어진 가운데 여권이 그 해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시 접수 시작하는데 “25년 증원 백지화”...의-정 협의 ‘막막’정부·여당이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해 ‘여·야·의·정 협의체’를 마련하자고 했지만, 의-정 간 입장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당장 9일부터 2025학년도 대입 수시전형 원서 접수가 시작되어 정원 조정은 사실상 불가능한데도, 의사단체는 내년도 증원분을 ‘원점 재검토’하자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계 '의대증원, 2027년부터 논의'…'증원 근거 공개하라'(종합)(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의료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당이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가 참여하기 위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의료계, 의견 안내면 2026년 의대 증원 재논의 불가'의대 증원과 관련해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어제(6일) 대구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응급실로 들어가고 있다. 〈출처=연합뉴스〉정부는 '의료계가 2026학년도 이후 의대 정원 규모에 대해 의견을 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