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전공의 부재로 인한 의료공백 위기가 불거질 때마다 군의관과 공보의를 앞세워 대응해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실 뺑뺑이’ 등 응급실 위기 사례가 터져나왔을 때도 서...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군의관과 공보의를 투입했지만 군과 지역의료 공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25일 서울의 한 대학 병원 응급실 앞을 한 의사가 지나가고 있다. 한수빈 기자
이 관계자는 “전공의의 핵심 업무는 진료·처치·수술이라 한 명의 환자를 다 맡아서 치료할 수 있어야 도움이 되는데, 파견 인력은 의료사고 시 책임 소재 문제 때문에 수술방 투입 등 환자 진료에 제약이 많다”고 말했다. 서울 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달 말 소속 교수 217명에게 파견 공보의·군의관이 진료 부담 해소에 도움이 됐는지 물은 결과 30.9%만 그렇다고 답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은 비슷하게 31.8%였다. 비대위는 “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진료에 섣불리 참여하였다가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생길까 두려워 피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공보의나 군의관 파견에 대한 관리 주체가 분산되다보니 운영도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다. 군의관·공보의는 군 소속이라 파견의 주체는 국방부다. 국방부에서 파견 명단을 넘기면 복지부가 시·도 별로 배정 인원과 근무 병원을 정한 후에 이를 지자체 보건과에 넘긴다. 배정된 군의관이 근무가 어려워 재배치를 요청할 경우 병원 측이 지자체에 보고하고, 지자체가 복지부에 재배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응급실 업무 부적합’ 이대목동병원, 파견 군의관 3명 돌려보냈다정부가 응급실 의료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서 군의관들을 의료기관에 파견하고 있으나, 현장에 나갔던 군의관들이 응급실 업무가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하고 기존 근무지로 돌아가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정부 “4일부터 응급실에 군의관 배치…9일부터는 235명 파견”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이달 4일부터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를 진료 제한 응급실에 긴급 배치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응급의료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며 이렇게 밝혔다. 박 차관은 “군의관과 공보의 등 대체 인력을 조속히 배치하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견 군의관 의료사고 시 의료기관이 2천만원 책임 부담(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인력 부족으로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생긴 병원에 파견된 군의관 등의 과실로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해당 병원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응급실 진료 도저히 못하겠다”…파견된 군의관 15명 줄줄이 포기정부가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는 병원에 군의관들을 파견하고 있지만, 이들 중 상당수가 근무를 포기하고 군에 복귀하면서 응급실 파행이 지속되고 있다. 7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4일 이대목동병원과 아주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 충북대병원, 강원대병원 등 의료기관 5곳에 파견·배치된 군의관 15명 모두 현재 응급실에 근무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견 군의관 의료사고 시 의료기관이 2천만원 책임 부담(종합)(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김준태 기자=인력 부족으로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생긴 병원에 파견된 군의관 등의 과실로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해당 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견 군의관, 응급실 근무 거부…현장도 '도움 안 된다' 파행정부가 응급실 인력 부족에 대한 대책으로 군의관을 투입하고 있지만, 파견 군의관들이 근무를 거부하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한 대형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군의관들이 와도 제대로 근무할 능력이 없어 도움이 하나도 되지 않는다'며 '군의관 본인들도 ‘부역자’라는 이야기를 듣는 마당에 제대로 일을 하고 싶겠느냐'고 말했다. 정윤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일부 병원에서 파견 군의관의 업무 범위에 관해 조정이 원만히 이뤄지지 않는 불미스러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며 '복지부와 국방부, 병원 등 3자가 논의해서 이런 문제들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