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을사년, 윤치호의 투덜거림과 최익현의 울분은 120년 후에도 여전히 현실을 묻는다.
이름만 들어도 을씨년스러운 1905년 ‘ 을사년 ’ 새해 첫날 날씨는 의외로 화창했다. 당대 대한제국 의 최고 ‘엘리트’였던 윤치호 (1865~1945) 외부협판은 이날치 자신의 영문 일기를 고종에 대한 ‘뒷담화’로 가득 채웠다. “황제가 자신이 편리하도록 시곗바늘을 움직이고 있다. 어떤 행사, 이를테면 제사가 낮 12시에 시작하도록 예정돼 있다고 하자. 황제는 오후 2시쯤 기상한다. 용변을 보고, 밥을 먹고, 점쟁이(fortune-tellers) 등과 잡담을 나누고 나면, 오후 4시나 5시, 또는 6시가 된다. (중략) 황제는 파렴치하고 거지 같은 허영심 덩어리이다(He is a most shameless bag of beggarly vanities).” 이틀 뒤인 3일치 일기에선 더 암담한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 1904년 8월부터 시작된 처절한 뤼순 공방전에서 일본이 마침내 승리한 것이다.
일본군은 11월26일 시작한 3차 총공격에서 엄청난 인명 피해를 감수한 끝에 새해 첫날 뤼순의 그 유명한 ‘203고지' 점령에 성공했다. 윤치호의 투덜거림은 이어진다. “뤼순항이 그저께 항복했다. 조선의 운명에도 영향을 끼칠 거대한 사건들이 우리 조선과 랴오둥반도를 분리하는 좁은 바다 건너편에서 일어나는 동안 황제와 대신들은 밤낮으로 유치한 의식, 시시한 음모, 자신들의 지긋지긋한 권력 아래 있는 처참한 수천명의 피를 빨아먹는 일에 매달려 있다.”이러다 나라가 주저앉을 수 있었다. 보다 못한 면암 최익현(1833~1906)이 일흔이 넘은 노구를 이끌고 고종 앞에 나섰다. 1월7일이었다. “아, 500년 동안이나 내려온 종묘사직과 삼천리강토가 일본에 의해 망할지 누가 알았겠습니까. 지금 온 나라의 신하와 백성들이 포로마냥 얽매여 도륙을 당하게 되었는데도 구해내지 못하니. 아! 운명입니까. 시대의 탓입니까. 당장 죽어버려 살고 싶은 생각이 없습니다.” 최익현의 우려대로 일본은 그해 11월 을사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의 국권을 사실상 빼앗게 된다. 윤치호의 투덜거림과 최익현의 울분이 이어졌던 1905년 을사년으로부터 ‘육십갑자’가 무려 두번이나 지났다. 믿기 힘든 일이지만, 2025년 을사년의 풍경은 120년 전과 별반 다르지 않다. 나라 밖에선 우리 “운명에 영향을 끼칠 거대한 사건”들이 쉴 새 없이 이어지는데 게으른데다 “파렴치하고 거지 같은” 대통령은 체포를 거부하며 버티고 있다. 국민들이 똘똘 뭉쳐 ‘을사년의 저주’를 풀어내는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5년 을사년, 1905년과 1965년의 뼈아픔 되새기다2025년 을사년은 1905년 일본의 조선 침략과 1965년 한일협정 체결 등 역사적 상황을 되새기게 하는 시기이다. 1905년 을사년의 국권 상실과 1965년 을사년의 한일협정에서 일본의 침략과 식민 지배에 대한 사죄 부재는 2025년 을사년의 시각을 넓혀야 할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친일 기조 정권 교체 가능성에 따라 한일관계의 새로운 방향 모색이 기대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천공, 윤석열 대통령 예언... 2025 통일 대통령?천공이 예언한 2025년, 윤석열 대통령 통일은 현실 가능할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탄핵소추안 표결, 8년 전과 다른 결과: '박근혜 탄핵 학습효과'와 '영남 편중'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서 여당 찬성표는 12명으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62명에 비해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에 '박근혜 탄핵 학습효과'와 친박·비박 의원들의 생존율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 박 전 대통령을 사석에서 '누나'로 부르던 친박계 의원들은 정치적 유불리에 대한 학습 효과로 탄핵 반대 입장에 섰고, 반대로 비박계 의원들의 생존율은 낮았습니다. 또한, 국민의힘이 영남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번째 대통령 탄핵안, 첫 표결 무산…8년 전과 왜 달라졌나(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김치연 김정진 기자=헌정사상 세 번째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7일 의결 정족수 부족에 따른 표결 무산으로 귀결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크라전 치르면 1년 내 병력소진'…영국군의 초라한 현실 [밀리터리 브리핑]①역대 최소 규모의 영국군 전쟁 수행 능력에 대한 우려 증폭 영국 해병대 대령 출신인 알리스테어 칸스 보훈부 장관이 영국군이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 전쟁 정도의 규모와 강도의 전쟁을 치른다면, 6개월에서 1년 안에 병력이 소진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②미 공군과 해군, 새로운 사거리 연장형 AIM-120과 AIM-9 개발에 주목 러시아와 중국과의 강대국 경쟁을 준비하고 있는 미 공군과 해군이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보유한 공대공 미사일 재고를 소진하면서 재고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년 12월 3일, 백색의 계엄령이 된 현실 - 윤석열 정권의 내란 공포2024년 12월 3일, 국회에 계엄군이 투입되어 선관위 침탈을 시도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사건은 최승호의 시 '대설주의보'에서 빗댄 군사독재의 폭압을 연상시키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발생하는 내란 사례가 끔찍한 공포를 일으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