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북 비핵화, 중국이 노력해야”…G20서 ‘한-중 회담’ 계획은 없어

대한민국 뉴스 뉴스

윤 “북 비핵화, 중국이 노력해야”…G20서 ‘한-중 회담’ 계획은 없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북한이 핵개발을 중단하지 않는 한, 체제 불안정성은 계속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아세...

윤석열 대통령이 8월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북한이 핵개발을 중단하지 않는 한, 체제 불안정성은 계속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이날 공개된 에이피통신 인터뷰에서 “북한은 최근 들어 김정은 집권 이후 최악의 경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북한 당국이 만성적 경제난과 식량난이 지속됨에도, 부족한 재원을 핵·미사일 개발에 탕진하고 있어 북한 주민의 민생고는 더욱 심화되고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자 한반도 평화는 물론 세계 평화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라며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단호하게 대응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주요 자금원인 △가상자산 탈취 △해외노동자 파견 △해상 환적 등을 적극 차단하고, 북한 주민들의 참혹한 인권 실상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대중 경제 의존도 등을 감안하면 중국은 북한에 상당한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다. 북한 비핵화를 위해 마땅히 건설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며 중국의 역할도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5~11일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3 회의와 동아시아정상회의, 인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차 4일 출국한다. 윤 대통령은 이 기간 인도네시아와 인도, 필리핀 등 최소 14개국 이상의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할 예정이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에 대해 “G20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온다는 이야기가 없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대통령 “북 비핵화 협력 강조…중국도 건설적 노력해야”윤 대통령 “북 비핵화 협력 강조…중국도 건설적 노력해야”에이피 통신 서면인터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9절 열병식'서 또 북중러 회동…최초 3국 정상회담 이어질까'9·9절 열병식'서 또 북중러 회동…최초 3국 정상회담 이어질까북한이 오는 9일 정권 수립 75주년 기념일(9·9절)에 맞춰 열병식을 개최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특히 이번 열병식을 계기로 한 북·중·러 고위급 회동은 향후 최초의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초의 북·중·러 정상회담의 계기가 될 수도 있는 이번 열병식과 관련 정대진 원주한라대 교수는 '특히 중국이 대표단장으로 누구를 보내는냐가 이번 열병식의 관전 포인트 중 하나' 라며 '미·중 전략경쟁 와중에서 북한에 불필요하게 연루되지 않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지만, 북·중·러 3국 정상회담을 감안할 경우 예상 외의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 관영매체 “‘한·중·일 협력 지지’는 선의, 양보로 보면 안돼”중 관영매체 “‘한·중·일 협력 지지’는 선의, 양보로 보면 안돼”중국 관영 매체가 최근 한·중 외교장관 통화에서 중국 쪽이 ‘한·중·일 협력 체계’에 대한 지지를 밝힌 데 대해 “(중국의) 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규형의 퍼스펙티브] 한·미·일과 한·중·일 두 바퀴가 ‘글로벌 중추국가’ 추동력[이규형의 퍼스펙티브] 한·미·일과 한·중·일 두 바퀴가 ‘글로벌 중추국가’ 추동력한·미·일 협력과 한·중 우호 협력 관계의 유지 발전이 결코 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하는 것은 한국 정부의 몫이다. 이제 새로운 한·미·일 협력시대를 맞아 지난 30년간 한·중 관계의 성과와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한·중 관계를 더 성숙하고 건전하게 발전시키길 바라며 몇 가지 제언을 하려 한다. 둘째, 한·중·일 정상회의를 조속히 개최해 한·중·일 협력과 한·미·일 협력의 두 바퀴를 가동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글로벌 중추 국가 실현을 위한 추동력으로 활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중국, 북한 비핵화에 마땅히 건설적 노력해야”윤 대통령 “중국, 북한 비핵화에 마땅히 건설적 노력해야”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하는 것을 두고 중국의 역할과 관련해 “안보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13:3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