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35%, '당무개입'보단 '경제/민생' 비판 늘어 윤석열_대통령 당무개입 여론조사 국정운영_지지율 한국갤럽 이경태 기자
한국갤럽은 지난 14~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무선·유선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윤 대통령 국정수행 긍·부정평가 여부 등을 물었다. 그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3%p 오른 35%로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p 내린 58%였고 그 외는 '어느 쪽도 아님' 혹은 '모름/응답거절' 등으로 의견을 유보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의 긍정평가가 올랐다. 대전·세종·충청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10%p 오른 39%, 부정평가는 7%p 내린 55%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7%p 오른 52%, 부정평가는 14%p 내린 31%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의 긍정평가도 전주 대비 4%p 오른 42%였다. 연령별로는 18·19세 포함 20대를 제외한 대다수 연령대의 긍정평가가 상승했다. 무엇보다 6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6%p 오른 51%였고, 70대 이상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7%p 오른 61%로 집계됐다.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과 이념성향별 중도층의 긍정평가 상승폭이 더 큰 편이었다. 무당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7%p 오른 24%, 중도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6%p 오른 28%였다.이러한 변화는 전주 조사 당시 부각됐던 '전당대회/당무 개입' 논란이 상대적으로 잦아든 덕으로 보인다.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자에게 자유응답으로 부정평가 사유를 물은 결과를 보면, '독단적/일방적', '여당 내부 갈등' 등의 답변 비중이 전주 조사 대비 각각 4%p, 2%p씩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다만, '난방비 폭탄' 등 공공요금 및 물가인상에 따른 비판 여론은 견고한 편이다. 설 연휴 이후 부정평가 사유 1순위로 자리잡았던 '경제/민생/물가' 비중은 또 다시 늘어났다. 참고로, '경제/민생/물가'를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 사유로 꼽은 응답은 6%→15%→17%→19% 순으로 증가 중이다. 한편, 국민의힘 지지율은 이번 조사에서 전주 대비 변화 없는 37%로 나타났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1%p 내린 30%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한국갤럽은"현재 양당 정당 괴리는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의 화제성 견인 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라고 풀이했다. 정의당 지지율은 전주 대비 2%p 오른 5%,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