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장관 “연내 GPU 1만5000장 확보”...AI 인프라 확보에 총력

AI 뉴스

유상임 장관 “연내 GPU 1만5000장 확보”...AI 인프라 확보에 총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유상임데이터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7 sec. here
  • 11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3%
  • Publisher: 53%

저비용·고효율을 앞세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 생태계 전반에 파장을 일으키면서, 우리 정부가 AI 컴퓨팅 인프라 확보에 더 속도를 내기로 했다. ‘AI=고비용’이라는 법칙을 알고리즘으로 풀어내려 한 딥시크 모델에 대해선 '저비용·저전력으로 AI의 성능을 높이려는 시도는 (딥시크 전에도) 있었다'며 '앞으로 이 분야에서 새 모델을 만들어 내는 전쟁이 엄청나게 벌어질 것이기 때문에 우리도 빨리 인프라를 구축해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말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데이터센터 규제개선 방안 등이 포함된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전략’ 발표를 앞두고 있다.

저비용·고효율을 앞세운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AI 생태계 전반에 파장을 일으키면서, 우리 정부가 AI 컴퓨팅 인프라 확보에 더 속도를 내기로 했다. 인프라 구축에 필수인 그래픽처리장치 확보 일정은 앞당기고, 데이터 센터 규제 개선 등 AI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처 핵심과제 추진상황을 보고하는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유 장관은 “딥시크가 근본적인 판도를 바꿨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한국에도 딥시크가 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 모델이 10개 정도 된다”고 말했다. ‘AI=고비용’이라는 법칙을 알고리즘으로 풀어내려 한 딥시크 모델에 대해선 “저비용·저전력으로 AI의 성능을 높이려는 시도는 있었다”며 “앞으로 이 분야에서 새 모델을 만들어 내는 전쟁이 엄청나게 벌어질 것이기 때문에 우리도 빨리 인프라를 구축해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선 2030년까지 GPU 3만 장을 확보하겠다던 기존 계획을 3~4년 더 앞당기기로 했다. 유 장관은 “국가AI위원회 출범 이후 GPT-4o, 딥시크 등이 등장하며 변화가 생각보다 빨리 왔다”며 “2030년에 3만 장을 확보해 봐야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2026년 말이나 늦어도 2027년 초까지는 민간과 협력해 목표로 했던 GPU 3만 장을 모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중 올해까지 약 1만 5000개 가량 구비할 예정이다. “국가 예산 중 1조는 AI에 써야” 최근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는 추경 논의에 대해선 “한다면 GPU 구입이 반드시 이뤄지면 좋겠다“며 “국가 예산 677조원 중 1조원 정도를 AI에 쓰는 게 무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말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데이터센터 규제개선 방안 등이 포함된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전략’ 발표를 앞두고 있다. 2조원 규모로 추진 중인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또한 장기 사업 중 하나로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유 장관은 이날 방한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 손정의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올트먼 CEO는 시간을 낼 수 없는 것 같지만 손정의 회장과는 한 번 만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손 회장과의 회동 가능성에 대해 시사했다. 다만 구체적인 면담 제안 내용이나 일정 등은 밝히지 않았다. 유 장관은 오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AI 행동 정상회의’에 한국 대표로도 참석한다. 올트먼 CEO도 방한 이후 이 회의에 참석한다.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는 양자 분야 주요 정책을 수립하는 기구인 민관합동 양자전략위원회을 3월 중 출범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기술사업화 체계 정비를 위한 관계부처 합동 ‘국가 R&D 기술사업화 전략’도 같은 달 발표할 예정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상임 데이터 GPU 엔비디아 샘올트먼 손정의 오픈AI 팩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AI 투자 확대 기대에 엔비디아·MS 상승세…국내선 반도체株 동반 하락美 AI 투자 확대 기대에 엔비디아·MS 상승세…국내선 반도체株 동반 하락美 스타게이트, AI 인프라 5천억불 투자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 3사 손잡아 GPU 공급할 엔비디아가 최대 수혜주 올해부터 HBM 수요도 동반상승 전망 단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하락 마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고] 기술패권 경쟁시대, 한국에 필요한 GDP 전략[기고] 기술패권 경쟁시대, 한국에 필요한 GDP 전략GPU 대규모 확보 나서고Deregulation 규제 풀고Professional 인재 키워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2025년도 핵심과제 추진 상황 브리핑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2025년도 핵심과제 추진 상황 브리핑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도 1월 핵심과제 추진 상황과 2월 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이번 브리핑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각 장관에게 매달 핵심 과제 추진 상황 브리핑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뒤 열린 첫 브리핑이다. 유 장관은 매월 대국민 보고를 한다는 계획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엔비디아, CES 2025서 AI 반도체로 혁신 선언엔비디아, CES 2025서 AI 반도체로 혁신 선언젠슨 황 CEO, 차세대 GPU 지포스 RTX 50 시리즈와 '개인용 AI 수퍼컴퓨터' GB10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과기정통부, 'AI 강국 도약' 약속했지만... 올해 첫 국제행사부터 불안과기정통부, 'AI 강국 도약' 약속했지만... 올해 첫 국제행사부터 불안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책 초점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다. AI 연구개발(R&D)을 위한 인프라·인력을 강화하고 산업 성장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컴퓨팅 인프라전략' 이달말 발표…'AI 인프라 중요성 여전''AI컴퓨팅 인프라전략' 이달말 발표…'AI 인프라 중요성 여전'(서울=연합뉴스) 조성미 조승한 기자=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의 주요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전략'을 이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11:2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