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횡령만 701억…작년 금융회사 사고규모 1천100억원
심재훈 임수정 기자=지난해 역대급 실적으로 은행 등의 고액 성과급 지급이 논란이 된 가운데 국내 금융회사의 내부 통제 부실로 인한 배임, 횡령 등 금전 사고액이 1천1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유형별로 보면 횡령 유용이 30건에 814억2천만원, 배임이 5건에 243억6천만원, 사기가 12건에 38억7천만원, 도난이 2건에 1억1천만원이었다.은행의 경우 지난해 신한은행은 사기 3건에 3억2천만원, 횡령 유용 4건에 3억원의 사고가 발생했다. 국민은행은 배임 1건에 149억5천만원, 우리은행은 횡령 유용 5건에 701억3천만원의 사고가 났다.증권사의 경우 하나금융투자가 배임 2건에 88억1천만원, 삼성증권이 사기 2건에 7억9천만원, 보험사는 KB손해보험이 횡령 유용 1건에 6억3천만원, 카드회사는 KB국민카드가 횡령 유용 1건에 1천만원의 사고가 발생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예가람저축은행과 고려저축은행이 각각 사기 1건에 6억3천만원과 2억원의 사고를 냈고, 모아저축은행과 한국투자저축은행은 각각 횡령 유용 1건에 58억9천만원, 15억4천만원의 사고가 발생했다. 김인철 기자=우리은행 직원이 회삿돈 614억 원을 횡령한 사건을 수사 중인 남대문경찰서 수사관들이 2일 오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압수수색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금감원은 이처럼 금융회사의 금전 사고가 끊이지 않자 지난해 내부 통제 혁신 방안을 반영해 은행연합회 모범 규준을 개정했으며 올해 각 은행의 내규에 반영을 추진 중이다.
개정된 모범 규준에는 준법 감시부서 인력 확보·장기 근무자 감축, 명령 휴가·직무 분리·내부고발자 제도의 운용 기준 마련, 사고 취약 업무 프로세스 고도화, 상시 감시·지점 감사 강화 등이 들어있다. 또한, 올해 상반기 중으로 경영 실태 평가 시 내부 통제 부문의 평가 비중을 확대하고 은행의 경우 내부 통제를 독립된 평가 항목으로 분리해 평가 비중을 확대하고 종합등급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금융사고에 대한 적시 대응 체계도 마련해 거액 금융사고 등 사회적 물의를 야기한 사고 발생 시 원칙적으로 현장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윤창현 의원은"금융업은 고객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신뢰 기반 구축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임직원의 일탈이 회사의 신인도와 직결될 수 있는 만큼 단 한 건의 경미한 사고에도 무관용 대응을 통해 책임 의식을 확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최고 연봉은 ‘357억’ 조수용 전 카카오 대표…CJ 이재현 221억지난해 기업인 중에서는 조수용·여민수 전 카카오 공동대표가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지난해 카카오를 떠나면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해 각각 300억원 이상을 챙겼습니다. ⬇️개인별 보수총액 훑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연봉킹'은 조수용 카카오 前대표…총수 1위는 CJ 이재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조수용·여민수 카카오[035720] 전 공동대표가 지난해 기업인 '연봉킹'에 올랐다. 오너 일가 중에서는 이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또다른 강제동원 피해원고 4명 법원에 '전범기업 자산 강제매각 해달라'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위자료 청구 소송을 제기해 대법원에 사건이 계류 중인 원고 4명의 피해자와 유족 등이 피고 기업 국내 자산에 대해 추가 강제집행(가집행) 절차에 착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산장학재단, 태안지역 중·고·대학생에 장학금 전달서산장학재단, 태안지역 중·고·대학생에 장학금 전달 서산장학재단 성우종대표 성석종 조규선이사장 방관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기업 '평균 연봉 1억 원대 시대' 개막…일부 2억 원대 진입지난해 대기업 급여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면서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긴 곳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평균 연봉이 2억 원 문턱을 넘은 기업도 등장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