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前 4차 중동전쟁으로日 성장률 마이너스 추락'대체에너지 다양' 낙관론도월가는 '전쟁 불안감 미미경기침체 확률도 50% 아래'美4분기 성장률 전망 상향확전·장기화땐 침체 불가피
확전·장기화땐 침체 불가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확대될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과거 중동전쟁으로 오일쇼크를 경험한 일본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공교롭게도 정확히 50년 전인 1973년 10월 4차 중동전쟁으로 '1차 오일쇼크'가 발생했고, 당시 급등한 석유 가격 때문에 일본 경제는 고도성장기를 마치고 이듬해 마이너스 성장률로 돌아섰다.
16일 아사히신문 등 일본 현지 언론은 50년 전 1차 오일쇼크의 기억을 소환하며 우려 섞인 전망을 내놨다. 당시 중동 산유국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미국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원유 수출 가격을 70% 인상하고 공급을 줄이면서 원유 가격이 석 달 새 4배나 급등했다. 1차 오일쇼크 당시 중동 지역에 대한 일본의 원유 의존율은 77.5%에 달했다. 유가 급등에 공급 부족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중에는 불안감이 커지며 사재기가 벌어졌다. 슈퍼에서 화장지나 세제 등이 자취를 감췄고, 이는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이듬해인 1974년 소비자물가가 20% 넘게 급등했다. 소위 '광란 물가'의 영향으로 일본 경제는 그해 -1.2% 성장률을 기록하며 사실상 고도성장기를 마무리 지었다.
월가도 전쟁에 따른 불안감을 크게 보지 않는 분위기다. 경제학자들은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을 하향 조정한 이유로 인플레이션 지속 둔화,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 종료, 예상보다 강력한 고용시장과 경제 성장을 꼽았다. 이러한 점들이 전쟁에 따른 경기 하강 요인을 상쇄하고도 남는다는 설명이다. 15일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재계와 학계 경제학자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향후 1년 내 경기 침체 확률이 48%라고 보도했다. 이는 3개월 전 조사 때보다 6%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또 경기 침체 전망 확률이 50% 밑으로 하락한 것은 지난해 중순 이후 1년여 만에 처음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블룸버그, “이란 참전시 유가 150달러 이상, 오일쇼크 올 수도”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무력충돌이 이스라엘·이란전으로 확전할 경우 유가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프랑스, 교사 피살에 ‘최고 경계’…‘반유대주의’ 긴장하는 유럽하마스와 이스라엘의 무력충돌 여파가 유럽 내 반유대주의 움직임으로 번지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계 삼겹살’ 관련 기준 없다던 당국, 부랴부랴 “기준 마련”한돈 20주년에 불거진 ‘비계 덩어리 삼겹살’과 관련, 정책 당국이 “기준이 없다”는 말만 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어로 말하라”…공연 중 팬들 요구에 홍콩 유명가수가 한 말이슨 찬 “알아들을 수 없다 해도 어쩔 수 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인질 귀환에 어떤 방안도 빼지 않을 것”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전쟁 위한 파병 없다”면서도 ‘인질구출’ 가능성 은연중 시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스라엘 철수비용, 韓 무료 日 27만원…비판 커지자 日 답변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16일 기자회견에서 '한국 군용기는 무료로 탑승할 수 있었는데 일본 정부 전세기를 타는 데는 3만엔(약 27만원)을 내야 하는 대응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적절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전세기를 마련해 출국을 희망한 일본인 8명을 이스라엘에서 아랍에미리트(UAE)로 이송했다. 한국 수송기는 무상이었는데 일본 정부 전세기는 1인당 3만엔을 내야 하는 데 대해 일본인들 사이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